세계일보

검색

“새 아파트가 왜 이렇게 안 나오지?”…인허가·착공·분양 모두 감소

입력 : 2025-11-21 07:32:49 수정 : 2025-11-21 07:32:49
양다훈 기자 yangbs@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수도권 인허가 22.9%↑ vs 지방 16.7%↓…격차 뚜렷
17일 서울 남산에서 시내 아파트가 보이고 있다. 뉴시스

 

올해 1~3분기 주택 공급을 가늠하는 인허가·착공·분양 물량이 모두 전년 대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준공(입주) 물량 축소로 이어져 주택시장 불안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국토교통부가 21일 발표한 주택통계에 따르면 올해 1~9월 전국 주택 인허가 물량은 21만8322호로 전년 동기 대비 0.4% 감소했다. 착공 물량은 17만787호로 11.3% 줄었고, 분양 물량은 13만309호로 19.5% 급감해 감소폭이 가장 컸다.

 

지역별로는 지방의 감소세가 두드러졌다.

 

수도권은 올해 인허가 물량이 11만1115호로 전년 대비 22.9% 증가한 반면, 지방은 10만7207호에 그치며 16.7%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착공은 수도권(-7.0%)·지방(-16.9%) 모두 감소했고, 분양 역시 수도권 -9.2%(7만5734호), 지방 -30.5%(5만4575호)로 지방 낙폭이 3배 이상 컸다. 지방에서는 미분양 누적과 ‘공급 절벽’이 동시에 나타나는 모습이다.

 

주택 공급은 인허가 후 3~5년, 착공 후 2~3년 뒤 시장에 나온다. 전문가들은 이번 선행지표 감소가 수년 뒤 공급 부족으로 이어질 가능성을 우려한다.

 

주택산업연구원(주산연) 이지현 도시정비실장은 “거래 규제·대출 규제 같은 단기적 수요 억제책보다 신속한 공급 확대가 불안정한 시장을 근본적으로 안정시키는 핵심”이라고 말했다. 주산연은 최근 정부에 ‘주택공급 특별대책지역 제도’ 도입도 제안했다. 해당 지역 내 사업에 인허가·세제·용적률 등 인센티브를 집중해 공급 속도를 높이자는 취지다.

 

정부도 공급 확대 신호를 내고 있다. 9·7 공급 대책 발표 이후 두 달이 지났지만 수도권 집값 상승세가 꺾이지 않자, 연내 추가 공급 대책 마련에 나선 상태다.

 

김윤덕 국토교통부 장관은 “추가 공급 의지가 확고하다”며 “대상지를 검토 중이며 가능하면 연내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오피니언

포토

박보영 '순백의 여신'
  • 박보영 '순백의 여신'
  • 나연 '사랑스러운 볼하트'
  • 임윤아 '상큼 발랄'
  • 손예진 '완벽한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