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이 지난해 경영실태평가에서 2년 연속 ‘B등급’에 머물렀다. 당초 A등급 복귀를 기대했으나 업무추진비 논란 등이 발목을 잡은 것으로 보인다.
20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융위원회가 주관하는 경영평가위원회는 지난해 금감원의 경영평가에서 ‘B등급’을 부여했다. 금융위는 매년 기획재정부의 공공기관 평가에서 제외된 소속 기관을 대상으로 자체평가를 실시하고 정량·정성 점수를 종합해 6등급(S·A·B·C·D·E 등급)으로 결과를 매긴다.
금감원은 이복현 원장 취임 첫해인 2022년 경영평가에서 2015년 이후 7년 만에 A등급을 받았지만, 2023년 B등급으로 강등됐다.
올해 한국거래소가 최우수 성적인 S등급, 예탁결제원이 A등급 등을 받으면서 금감원도 A등급으로 복귀할 것이란 기대가 있었다. 금감원의 금융회사 감독·검사 등 본연의 업무에서는 양호한 평가를 받았지만, 이복현 원장 재임 당시 업무추진비 비공개 논란 등이 감점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난각 번호 논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20/128/20251120517190.jpg
)
![[기자가만난세상]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인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20/128/20251120517173.jpg
)
![[세계와우리] 원잠을 보유할 준비는 됐는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20/128/20251120517196.jpg
)
![[기후의 미래] 빌 게이츠에 실망한 진짜 이유](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20/128/20251120517163.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