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률 67.3%로 2024년比 1.3%P 올라
경력단절 8.5만명 줄어 21.3%로 집계
자녀 6세 이하일 때 고용률 57.7% 최소
일 중단 이유 육아 44.3%로 가장 많아
올해 미성년 자녀를 둔 기혼여성의 고용률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그러나 여전히 90만명에 가까운 기혼여성이 경력단절을 겪고 있고, 자녀가 어리거나 많을수록 고용률이 떨어지는 경향은 이어졌다.
국가데이터처가 20일 발표한 ‘2025년 상반기 지역별고용조사 기혼여성의 고용현황’에 따르면 지난 4월 기준 18세 미만 자녀와 사는 15~54세 기혼여성의 고용률은 64.3%로 집계됐다. 직전 최고치인 지난해의 기록(62.4%)을 넘어선 것이다. 15∼54세 전체 기혼여성으로 범위를 넓혀도 고용률은 67.3%로 전년 대비 1.3%포인트 오르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경력단절 여성도 지난해보다 8만5000명 감소하며 역대 가장 낮은 21.3%(88만5000명)로 집계됐다. 경력단절 여성이 꾸준히 감소한 배경으로 여성의 경제활동 증가와 정부의 육아·출산 지원 정책이 영향을 미쳤다는 것이 데이터처의 분석이다.
그러나 자녀가 어리거나 많을수록 기혼여성의 고용률은 떨어졌다. 자녀가 6세 이하일 때 고용률은 57.7%로 가장 낮았고, 13∼17세일 때 66.1%, 13∼17세일 때 70.4%로 조금씩 올랐다. 다만 이 수치도 지난해와 비교했을 때 1∼2%씩 올랐다. 자녀가 1명일 때와 2명일 때 모두 고용률이 64.6%였지만, 3명 이상일 땐 60.6%로 내려앉았다. 경력단절 여성으로 봐도 자녀가 어리거나 많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자녀와 살지 않거나 자녀가 없는 경우를 포함한 전체 기혼여성 중 경력단절 여성은 110만5000명으로 집계됐다. 비율로는 14.9%로 지난해보다 1.0%포인트 떨어지며 마찬가지로 역대 가장 낮았다.
경력단절 여성이 일을 그만둔 이유로는 육아가 44.3%로 가장 많았다. 결혼(24.2%)과 임신·출산(22.1%)이 뒤를 이었다. 특히 30대의 경우 육아로 인한 경력단절이 48.5%로 절반에 육박했다.
일을 한 번 그만두면 경력단절이 장기화하는 현상이 두드러졌다. 경력단절 기간을 보면 10년 이상이 42.1%로 가장 많았고, 5~10년 미만은 22.3%, 1~3년 미만은 11.3% 순이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난각 번호 논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20/128/20251120517190.jpg
)
![[기자가만난세상]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인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20/128/20251120517173.jpg
)
![[세계와우리] 원잠을 보유할 준비는 됐는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20/128/20251120517196.jpg
)
![[기후의 미래] 빌 게이츠에 실망한 진짜 이유](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20/128/20251120517163.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