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안군, 정부 중재안에 ‘긍정’
주민지원 방안 등 의견 접근
12월 6자 TF에서 합의 전망
10여년간 지지부진했던 광주 민간·군공합 통합 이전 논의가 다음달쯤 전남 무안으로 최종 합의될 전망이다.
20일 광주시 등에 따르면 강기정 광주시장과 김영록 전남지사, 김산 무안군수는 전날 대통령실에서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 주재로 광주 민간·군공항 통합 이전 추진을 위한 4자 회담을 했다.
이번 4자 회담은 올 6월 대통령이 광주·전남 타운홀 미팅에서 약속한 대통령실 주관 군공항 이전 6자 협의체 태스크포스(TF) 회의에 앞서 사전협의 방식으로 열렸다. 그동안 각 기관이 제기한 쟁점을 논의하고 주요 현안에 대한 상호 입장을 공유하는 자리였다.
올해 안에 대통령실이 주관하는 광주시·전남도·무안군·기재부·국방부·국토부 등 6자 협의체 TF에서 무안군 지원방안의 구체적 실행 로드맵을 마련하고 실무협의회에서 구체적으로 논의하게 된다.
2013년 ‘군공항 이전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이 제정된 이후 10여년간 표류해 온 광주 민간·군공항 통합 이전이 올해 안에 가시적인 성과를 낼 것으로 보인다.
민간·군공항 이전의 유력 후보지인 무안군이 정부안에 긍정적인 입장을 보인 점이 그동안 꼬인 실타래를 푸는 데 핵심적 역할을 하고 있다. 김 무안군수는 “실무 회의가 남았지만 4자가 통합 공항 이전에 공감대를 형성한 것은 맞다”고 말했다.
6자 협의체에서는 무안군이 민간·군공항 이전의 선결조건으로 내걸었던 3대 요구사항이 집중 논의될 전망이다. 무안군이 올 9월 제시한 3대 선결조건은 광주 민간공항 선 이전과 광주시의 1조원 규모의 공개 지원 약속에 대한 이행 방안 제시, 국가의 획기적인 인센티브 선 제시 등이다.
정부 차원에서는 국가산단 등 무안의 첨단산업 기반 조성을 추진한다. 광주시의 1조원 규모 지원책 확보 방안도 무안이 납득할 만한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다. 기부 대 양여 방식의 한계를 극복하고 광주 미래 먹거리 조성을 위해 공적기금 활용, 금융비용 지원, 국가·공기업 참여 등 정부 차원의 실질적 재원 지원 방안을 구체화할 방침이다. 또 호남고속철도 2단계 개통과 연계해 광주 민간 공항도 무안으로 우선 이전하는 것으로 가닥이 잡혔다.
광주시와 전남도는 95% 이상 합의를 이뤘다는 입장이다. 광주시는 연내에 6자 협의체를 두 차례 정도 열어 실무적인 조율만 거치면 민간·군공항의 무안 이전에 속도를 낼 것으로 기대했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지난 10여년간 표류해 온 군공항 이전사업이 드디어 실행 국면에 접어들었다”며 “이번 대통령실·지자체 4자 사전협의는 허심탄회한 대화로 상호 신뢰를 쌓은 소중한 시간이었다”고 했다.
광주 민간·군공항은 1949년 개항한 이후 도심 팽창 등으로 인해 이전 요구가 제기돼 왔으며, 2007년 무안국제공항이 개항하면서 무안 공항과 연계한 이전 논의가 본격화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난각 번호 논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20/128/20251120517190.jpg
)
![[기자가만난세상]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인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20/128/20251120517173.jpg
)
![[세계와우리] 원잠을 보유할 준비는 됐는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20/128/20251120517196.jpg
)
![[기후의 미래] 빌 게이츠에 실망한 진짜 이유](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20/128/20251120517163.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