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가 인공지능(AI)과 로봇·센서 등 물리적 기술을 결합하는 ‘피지컬 AI’ 산업 육성에 본격 나섰다.
전북도는 20일 오전 서울 코엑스에서 ‘2025 피지컬 AI 글로벌 포럼’을 열고 글로벌 기술 동향과 제조업 적용 전략을 공유하며 지역 추진전략을 제시했다.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이 주최하고, 전북도와 한국인공지능학회, 전북대, KAIST가 공동 주관한 이번 포럼에는 국내외 전문가 500여명이 참석했다.
피지컬 AI는 인공지능이 실제 환경에서 동작하도록 로봇·센서·엣지 컴퓨팅 등 하드웨어와 융합된 기술로, 제조·물류·농업·의료 등 산업 구조를 빠르게 바꾸고 있는 핵심 분야로 평가된다.
오전 세션에서는 박태완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산업정책관이 정부 정책 방향을 설명했고, 메릴랜드대 제이 리 교수와 UCLA 데니스 홍 교수가 기술 발전 흐름과 산업 적용 가능성을 제시했다. 노키아, 현대차 등 글로벌 기업들은 실증 사례를 발표했다. 이어진 특별토론에서는 상용화 전략을 논의했다.
오후에는 기술 트렌드와 산업 적용, 학문적 프런티어 등 3개 분야로 나눠 대학·연구기관·기업 전문가들이 심층 토론을 진행한다. 해외에서는 홍콩폴리테크닉대, 스웨덴왕립공과대, 프린스턴대 등 연구진이 참여하고, 국내에서는 KAIST·서울대·전북대 등이 기술 전략을 공유한다. 보스턴다이나믹스, 딜로이트, LG전자, 네이버클라우드 등 기업들도 발표에 나선다.
전북도는 이번 포럼을 계기로 피지컬 AI를 미래 성장동력으로 육성하기 위한 지역 전략을 추진할 계획이다. 전북은 상용차·농기계·조선해양 등 제조 기반이 탄탄해 자동화·예지정비·자율화 기술을 실증하기에 적합하다는 평가다.
이를 위해 내년부터 실증단지 조성에 착수하고, 도내 기업들의 AI·로봇 기반 제조혁신 기술 도입을 지원할 방침이다. 로봇·센서·AI 모델을 실제 환경에서 검증하는 시험대를 마련해 산업 생태계 조성과 기업 경쟁력 강화로 이어지게 하는 방안을 구상 중이다.
김관영 전북지사는 “피지컬 AI는 이미 현실이 된 미래 기술”이라며 “전북을 국내 최초 피지컬 AI 실증 테스트베드로 구축해 대한민국 제조혁신을 선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전날에는 한국인공지능학회가 주관한 피지컬 AI 튜토리얼과 특별세션이 열려 연구자 교류와 기술 지식 확산이 이뤄졌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난각 번호 논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20/128/20251120517190.jpg
)
![[기자가만난세상]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인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20/128/20251120517173.jpg
)
![[세계와우리] 원잠을 보유할 준비는 됐는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20/128/20251120517196.jpg
)
![[기후의 미래] 빌 게이츠에 실망한 진짜 이유](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20/128/20251120517163.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