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이비통·코치·구찌 등 글로벌 럭셔리 브랜드, 미식으로 브랜드 세계관 확장
최근 미식 콘텐츠의 확산과 식문화에 대한 소비자 관심이 높아지면서, 이를 통해 브랜드 세계관을 전달하는 미식 마케팅이 주요 전략으로 부상하고 있다. 명품 업계는 단순한 제품 판매에서 벗어나 ‘미식 경험’을 새로운 고객 접점으로 삼는 추세다. 브랜드의 가치와 철학을 음식, 공간, 경험으로 확장하며 소비자에게 다층적인 브랜드 경험을 제공하려는 움직임으로 풀이된다.
싱글몰트 위스키 발베니는 지난해부터 ‘발베니 메이커스 캠페인’을 통해 발베니와 푸드 페어링을 강조한 미식 경험을 제공해 오고 있다. 위스키 푸드 페어링을 큐레이션하는 콘텐츠를 적극적으로 선보이는 동시에, 소비자가 이를 실제로 경험할 수 있는 프로모션을 운영, 브랜드의 가치와 철학을 미식으로 경험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올해는 ‘더 발베니 바’, ‘고호재’, ‘부토’, ‘온지음’과 차례로 협업해 위스키와 한식 페어링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고, 11월에는 2025 미쉐린 가이드 서울 1스타에 선정된 온지음과의 스페셜 푸드 페어링 프로모션을 진행 중이다.
지난 5월에는 브랜드 가치를 전하는 공간인 ‘발베니 메이커스 테이블’ 팝업스토어를 열고, 네 곳의 레스토랑과 함께 개발한 핑거푸드와 발베니를 함께 즐길 수 있는 스페셜 페어링 세트를 선보이기도 했다.
안가현 발베니 브랜드 매니저는 “력서리 브랜드들이 단순한 제품 판매를 넘어 경험 제공에 집중하는 마케팅을 강화하고 있다”며 “특히 미식은 브랜드가 가진 가치와 철학을 감각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강력한 수단으로, 앞으로 더 많은 브랜드가 미식을 기반으로 한 경험 마케팅을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루이비통은 서울 강남에 ‘르 카페 루이비통’ 레스토랑을 열며 브랜드 경험의 스펙트럼을 확장했다. 단순 콘셉트 카페가 아닌 루이비통이 직접 큐레이션한 메뉴와 공간, 서비스를 통해 전방위적으로 브랜드 경험을 선사한다는 전략이다. 국내 미쉐린 스타 셰프 윤태균이 미식을 총괄하며 프렌치 감성에 한국적 요소를 녹여낸 메뉴를 선보인다.
코치는 롯데몰 동부산점에 국내 최초의 ‘코치 카페’를 열었다. 뉴욕의 클래식한 감성을 담은 이 공간은 카페와 리테일을 결합해 패션과 라이프스타일을 동시에 경험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코치 카페는 현재 미국,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등 일부 국가에서만 한정적으로 운영 중으로, 국내 진출은 이번이 처음이다.
구찌 역시 ‘구찌 오스테리아 다 마시모 보투라 서울’을 청담에 오픈했다. 2022년 이태원에 오픈한 레스토랑을 청담으로 이전, 리뉴얼했다. 전 세계 네 번째 구찌 오스테리아인 이곳은 엄선된 테이스팅 코스와 세련된 단품 메뉴를 선보인다.
공간에는 구찌 청담 플래그십 스토어의 ‘수직 공원’ 콘셉트를 반영해 도심 속 자연 감성을 담았으며, 특유의 감각적인 공간과 미식 연출로 브랜드 경험의 깊이를 극대화한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난각 번호 논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20/128/20251120517190.jpg
)
![[기자가만난세상]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인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20/128/20251120517173.jpg
)
![[세계와우리] 원잠을 보유할 준비는 됐는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20/128/20251120517196.jpg
)
![[기후의 미래] 빌 게이츠에 실망한 진짜 이유](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20/128/20251120517163.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