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북도가 인공지능(AI)과 재난 대응 등 미래 행정 수요에 선제로 대응하고자 2026년 1월1일 자로 조직을 개편한다.
도는 민선 8기 도정 성과를 가속하고 새 정부 정책에 유기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조직개편안을 제430회 도의회 정례회에 제출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조직개편은 △AI 정책 대응을 위한 조직 신설 △재난·복지 분야 국가정책 수행을 위한 인력 보강 △지역 균형발전을 위한 사업소 분리 △소방기관 감찰·윤리 기능 강화 등의 내용을 담았다.
우선 기존 ‘과학인재국’과 ‘과학기술정책과’는 각각 ‘AI과학인재국’과 ‘AI전략과’로 명칭을 변경하고 ‘AI정책팀’을 신설한다. 이는 정부가 추진 중인 ‘AI 3대 강국 도약’ 전략에 발맞춰 도 차원의 대응체계를 갖추려는 조치다. ‘AI전략과’는 충북 AI정책의 중추 역할과 AI 기술 첨단산업 융합, 인재 양성 등 지역 산업의 고도화를 추진한다는 구상이다.
자연재난과에는 자연재난정책팀을 신설해 재난 대응 기능 강화에 나선다. 또 재난상황팀은 기존 8명에서 11명으로 증원한다. 재난과 안전 분야 인력 부족으로 전문성과 중추적 역할 수행에 어려움이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내수면산업연구소에 수산파크산업과를 신설한다. 기존 내수면산업과(충주, 괴산)를 분리해 괴산 수산파크와 아쿠아리움을 운영한다는 전략이다.
동물위생시험소에서 축산시험장을 분리한다. 동물위생시험소법 제2조 가축개량 부서 공간 분리 권유로 가축개량팀, 생명자원팀, 유전공학팀 등 3개 팀을 신설한다.
소방 분야는 감사와 감찰 기능을 강화한다. 소방감사담당관을 신설하고 임시 운영 부서를 정시(정규) 직제(긴급대응지원팀, 특수지원팀)로 상설화해 관할구역 현장 업무에 공백이 생기지 않게 지원한다.
최병희 충북도 행정국장은 “새 정부의 AI 정책 방향에 대응하고 재난 분야를 강화해 도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킴은 물론 현안 사업에 박차를 가할 수 있게 조직을 정비해 민선 8기 성공적 마무리를 이끌어 가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난각 번호 논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20/128/20251120517190.jpg
)
![[기자가만난세상]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인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20/128/20251120517173.jpg
)
![[세계와우리] 원잠을 보유할 준비는 됐는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20/128/20251120517196.jpg
)
![[기후의 미래] 빌 게이츠에 실망한 진짜 이유](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20/128/20251120517163.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