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사, 발열 증상 있으면 의심해야
심하면 탈수로 사망할 수도 있어
노인, 영유아 경우 합병증 위험 높아
겨울철에 주로 발생하는 장관 감염증인 로타바이러스 환자가 최근 서서히 늘고 있다. 로타바이러스는 급성 위장관염 원인 바이러스다. 사람에서 사람으로 직접적으로 전파된다. 분변에 오염된 물건이나 음식물, 호흡기를 통해서도 전염된다. 감염 시 구토, 설사, 발열 등 증상이 나타난다. 대부분 회복되지만 드물게는 심한 탈수로 사망할 수도 있다.
18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올해 45주차(11월 2∼8일) 그룹 A형 로타바이러스 환자는 모두 54명으로, 43주(24명) 이후 거의 2배가 됐다. 45주차 환자 수는 작년 같은 기간(34명)보다 58.8% 많은 수준이다.
사람이 감염되는 로타바이러스에는 그룹 A∼C형이 있다. 이 가운데 법정 감염병으로 지정된 것은 그룹 A형이다.
로타바이러스에 따른 바이러스성 장염은 특히 11∼3월의 추운 계절에 많이 발생한다.
질병청 관계자는 “보통 겨울철에 유행하는 편”이라며 “계절 변화에 따라 환자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로타바이러스는 백신으로 예방할 수 있다. 영아는 국가 예방접종으로 무료 접종도 지원된다. 백신 종류에 따라 생후 2, 4개월 두 차례 혹은 2, 4, 6개월 총 세 차례 접종하면 된다.
겨울철에 유행하는 또 다른 바이러스성 장관 감염증 중 하나인 노로바이러스도 최근 환자가 증가 추세다.
45주차 노로바이러스 환자(69명)는 직전 주(77명)보다 줄었으나 작년 같은 기간의 환자 수(45명)보다는 53.3% 많다.
44주차를 기준으로 했을 때 그룹 A형 로타바이러스 검출률은 작년 같은 기간보다 2.3%포인트(p), 노로바이러스 검출률은 2.6%p 늘었다.
노로바이러스는 예방 백신이 없다. 유전자에 따라 28종류에 이르기 때문에 이를 예방하는 백신을 만드는 데 기술적인 한계가 있다. 노로바이러스에 감염돼도 대부분 설사 증상 등을 호소하다가 호전된다. 일부 유전적 특성에 따라 심한 증상으로 발전하는 사람도 있다. 노인이나 소아, 영아는 심각한 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다.
이들 장관 감염증을 막으려면 흐르는 물에 비누로 30초 이상 손 씻기, 음식물 익혀 먹기 등이 중요하다.
화장실, 변기, 손잡이 등은 염소 소독제를 40배 희석(염소 농도 1000ppm)해 소독하는 것을 권고한다. 환자 분비물을 제거할 땐 비말을 통해 감염되지 않도록 마스크(KF94)와 장갑을 착용해야 한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지역의사제, 성분명 처방](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8/128/20251118518028.jpg
)
![[데스크의 눈] 검찰 흑역사에 추가된 ‘항소 포기’](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8/128/20251118518002.jpg
)
![[오늘의 시선] 최고의 환율 진정제는 경제 체질 개선](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8/128/20251118517963.jpg
)
![[김상미의감성엽서] 에밀리 디킨슨을 읽다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8/128/20251118517985.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