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사랑니 발치, 40대 이후 합병증 발생률 쑥”

입력 : 2025-11-18 06:00:00 수정 : 2025-11-17 19:12:48
권이선 기자

인쇄 메일 url 공유 - +

강남세브란스 허종기·김재영 교수팀
“발치 난도도 ↑… 어릴 때 뽑아야 유리”

40대가 되면 사랑니 수술 후 감염 및 합병증 발생률이 높아지므로 일찍 발치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7일 강남세브란스병원에 따르면, 허종기·김재영 구강악안면외과 교수 연구팀은 연령대에 따른 아래턱 사랑니 발치 원인과 난이도 차이를 분석한 연구를 ‘미국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에 최근 발표했다. 연구팀은 2021년 사랑니를 발치한 20대 555명(66.8%), 30대 159명(19.1%), 40대 이상 117명(14.1%)의 총 831명을 대상으로 발치 이유와 수술 후 합병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사랑니 발치는 23∼25세 무렵에 가장 빈번하게 이뤄지지만, 사랑니가 잇몸 깊이 매복돼 있다가 발생하는 문제는 주로 40대 이후에 집중된다. 사랑니 때문에 주변 뼈를 흡수하고 신경 손상까지 유발하는 치성 낭종을 비롯해 충치, 치주염 등이 발생해 상당히 진행되기까지 장기간 방치한 탓에 생긴 문제다.

연구팀은 매복된 사랑니 발치 난이도부터 차이가 있었다고 밝혔다. 발치가 가장 어려운 유형에 속하는 비율은 40대 이상 환자군(12.8%)이 20대 환자군(3.1%)에 비해 크게 높았다. 발치 연령이 높아질수록 사랑니가 깊이 묻혀 발치가 어려운 상태인 탓에 수술이 더 까다로워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수술 후 합병증 발생률도 40대 이상에서 더 높았다. 전체 합병증 발생률은 2.2%였는데, 40대 이상에선 7.7%에 달했다. 반면 20대는 1.8%, 30대는 1.9%였다. 다른 변수의 영향을 보정하면 40대 이상의 합병증 발생 가능성은 20대보다 4.8배 더 높았다. 사랑니를 뽑은 자리에 잇몸뼈와 신경이 노출돼 심한 통증을 겪는 건성 발치와(드라이 소켓)는 연구 대상 환자군 중 40대 이상에서만 관찰됐다.

20대와 40대는 사랑니를 발치하는 이유부터 달랐다. 20∼30대에선 대부분 드러난 문제는 없으나 미리 제거하는 예방적 발치 비율이 높은 반면, 40대 이상 환자군의 예방적 발치 비율은 7.7%에 그쳐 가장 낮았다. 심한 충치나 잇몸병 같은 병적 상태로 발치에 이른 비율은 40대 이상(53.0%)이 20대(15.3%), 30대(26.4%)에 비해 크게 높았다.

김 교수는 “나이가 들수록 아래턱 사랑니 발치 난도가 높아지고, 심각한 문제가 있어 발치하면 감염을 포함한 합병증이 발생할 위험도가 훨씬 높아짐을 학술적으로 검증했다”며 “사랑니 때문에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보인다면 가능한 한 젊은 나이에 뽑는 게 유리하다”고 말했다.


오피니언

포토

차주영 '완벽한 미모'
  • 차주영 '완벽한 미모'
  • ‘오늘 결혼’ 김옥빈
  • 정은채 가을 분위기 물씬…단발도 예쁘네
  • 문가영 완벽 미모 과시…시크한 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