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운영 과정에서 교사들의 과도한 업무 부담이 다시 논란이 되고 있다.
17일 전국중등교사노동조합(중등교사노조)은 수능 당일인 지난 13일부터 16일까지 전국 교사 66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조사에 따르면 시험장에 투입된 교사의 76.2%는 3개 교시 이상, 13.6%는 4교시 이상을 감독했다. 실제 식사 시간은 20~30분에 불과했으며, 상당수 교사가 4~5시간 이상 거의 앉지 못한 채 근무한 것으로 확인됐다.
수능 전날 교실 청소와 세팅까지 교사가 떠맡는 현실도 여전했다. 응답자의 88.3%가 “시험장 청소·책상 배치·안내문 부착·방송 점검 등 시험장 준비를 직접 했다”고 답했다. 방송기기 고장까지 교사가 직접 수리한 사례도 나왔다.
감독 중 돌발 상황을 겪었다는 응답은 42.1%에 달했다.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 것은 냉난방·화장실·좌석·소음 등을 둘러싼 ‘수험생 민원(45.3%)’이었다. 이어 ▲영어듣기·타종·방송 오류(13.3%) ▲OMR 카드·컴퓨터용 사인펜 불량 ▲교사·수험생 건강 이상 등이 보고됐다. 일부 교사는 감독 중 어지럼증·실신·구토·두통·공황 증상을 겪었다고 호소했다.
그러나 이같은 고강도 노동에도 불구하고 수능 감독 수당은 17만~19만원 수준이며, 전날 예비 소집과 준비 업무는 노동시간으로 인정되지 않는다.
교사들은 수당이 문제가 아니라 근무 구조 자체를 개선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다수 응답자가 ▲1인당 감독 시수 2교시 이하 제한 ▲연속 감독 금지 ▲키높이 의자 배치 등 휴식 보장 ▲전자기기 수거 절차 정비 ▲수능 다음날 일정 시간 휴무 보장 등을 제안했다. 청소·방송·시설 점검과 같은 비본질 업무는 전문 인력이나 용역에 맡겨야 한다는 의견도 많았다.
중등교사노조는 “수능은 국가가 운영하는 시험이지만 실제 책임은 개별 교사에게 전가돼 있다”며 “교사의 희생 위에 유지되는 현재 시스템은 지속 가능하지 않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원잠 vs 핵잠](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7/128/20251117516932.jpg
)
![[주춘렬 칼럼] 韓·美 관세협상의 그늘](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7/128/20251117516911.jpg
)
![[기자가만난세상] ‘인간 젠슨 황’의 매력](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7/128/20251117516885.jpg
)
![[박현모의 한국인 탈무드] 섬길 줄 알아야 신뢰를 얻는다](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7/128/20251117516838.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