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총 18조원에 육박하는 내년도 예산안을 편성하고, 민선8기 시민 체감형 비전을 완성한다는 계획이다.
부산시는 올해 본예산 대비 7.5% 증가한 17조9330억원 규모의 ‘2026년 본예산안’을 부산시의회에 제출한다고 11일 밝혔다.
내년도 예산안의 편성 방향은 민선8기 2대 도시목표인 ‘시민행복도시’와 ‘글로벌 허브도시’ 실현을 위해 △다함께 누리는 시민행복도시 △살고 싶은 미래형 매력도시 △글로벌 물류·거점도시 △글로벌 금융·창업도시 △글로벌 디지털·신산업도시 △글로벌 문화·관광도시 6개 분야에 중점을 두고 편성했다.
먼저 다함께 누리는 시민행복도시 조성을 위한 △부산형 맞춤형 복지 △출산·양육 친화 환경 조성 △공공의료 서비스 및 재난대응체계 강화에 8조6031억원을 투입한다. 돌봄사업 지원 대상을 중위소득 70% 이하에서 100% 이하로 확대하고, 퇴원환자 안심돌봄과 병원 안심동행과 같은 맞춤형 돌봄서비스 제공을 통해 촘촘한 돌봄체계를 강화한다. 또 어린이집 필요경비 중 월 1만원의 부모부담 행사비를 3~4세까지 확대 지원하고, 월 8000원이던 영아(0~2세) 급·간식비를 1만2000원으로 확대한다.
살고 싶은 미래형 매력도시를 위한 미래형 15분 도시 구현과 편리한 생활교통 및 대중교통 환경 조성, 친환경 푸른도시 조성에 1조4875억원을 편성했다. 15분 도시 확산을 위한 복합생활권 3곳·근린생활권 1곳 등 15분 정책공모사업과 15분 도시 조성사업을 확산한다.
동백패스와 K-패스 및 신규 도입되는 정액패스를 통해 시민들의 교통비 부담을 완화하고, 남해고속도로 지선 가락요금소와 을숙도대교·산성터널 출·퇴근 시간 요금 무료화를 통해 시민 생활교통 서비스를 대폭 개선한다.
글로벌 물류·거점도시 도약과 글로벌 금융·창업도시 완성을 위해 4407억원과 3427억원 등 총 7834억원을 투입한다. 글로벌 물류·거점도시 도약을 위해 트라이포드 기반 글로벌 거점도시 인프라와 글로벌 해양산업 허브도시 기반 및 미래형 도시공간 혁신 인프라를 구축한다. 또 글로벌 금융·창업도시 완성을 위해 디지털 금융중심지·아시아창업도시를 완성하고, 지·산·학 협력체계 혁신 및 미래인재를 양성한다.
마지막으로 9306억원을 투입해 글로벌 디지털·신산업도시 조성과 글로벌 문화관광도시를 조성한다. 지역경제 활력과 민생안정 강화, 미래 신산업 유치 및 혁신성장 기반을 강화하고, 품격 있는 문화·예술도시를 조성한다. 또 생활체육 천국도시, 세계적인 관광·마이스 허브도시를 조성한다.
특히 세계적인 미술관과 오페라하우스 건립 등 품격 있는 문화 기반 시설을 구축해 세계적 수준의 문화콘텐츠도시 역량을 강화하고, 어디서나 즐기는 생활체육으로 일상이 건강한 생활체육도시를 조성한다.
박형준 시장은 “2026년 예산안은 민선8기에서 추진해 온 시정의 변화를 시민이 체감할 수 있도록 관련 사업들을 충실히 담고자 노력했다”며 “이번 예산안을 바탕으로 ‘다시 태어나도 살고 싶은 부산’, ‘글로벌 허브도시 부산’의 퍼즐을 시민 여러분과 함께 완성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한국판 장발장’에 무죄](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27/128/20251127519404.jpg
)
![[기자가만난세상] AI 부정행위 사태가 의미하는 것](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27/128/20251127519346.jpg
)
![[세계와우리] 트럼프 2기 1년, 더 커진 불확실성](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27/128/20251127519384.jpg
)
![[조경란의얇은소설] 엄마에게 시간을](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27/128/20251127519352.jpg
)




![[포토] 아이브 가을 '청순 매력'](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28/300/20251128510212.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