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고대서도 집단 부정행위 발각… 연대, AI윤리 긴급공청회 추진

입력 : 2025-11-11 06:00:00 수정 : 2025-11-10 21:23:08
윤준호 기자 sherpa@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고대, 1400여명 온라인 강좌
오픈채팅방서 시험 답안 공유
담당교수 “충격… 전면 무효화”

연대, 2024년에도 AI 커닝 확인

연세대에 이어 고려대에서도 시험 중 집단 부정행위가 적발됐다. 이들 대학은 인공지능(AI) 시대 교육과 평가방식을 논의하는 긴급공청회를 추진하는 등 대책을 고심하고 있다.

 

10일 대학가에 따르면 지난달 25일 고려대 교양과목 ‘고령사회에 대한 다학제적 이해’ 중간고사에서 일부 학생들이 카카오톡 오픈채팅방을 통해 답안을 주고받은 것으로 파악됐다. 해당 시험은 별도의 부정행위 방지 장치 없이 비대면으로 진행됐다.

 

이 강의는 약 1400명이 수강하는 대형 온라인 강좌인데 부정행위가 발생한 오픈채팅방에는 500명가량이 있었던 것으로 파악됐다. 해당 채팅방은 시험 이전부터 수강생들이 정보를 주고받는 커뮤니티로 운영돼 온 것으로 전해졌다.

 

강의 교수자는 지난달 27일 공지를 통해 “명문사학에서 이 같은 일이 발생한 것에 대해 강의를 해주신 교수님들이 큰 충격을 받았다”라며 “부정행위를 묵과할 수 없으므로 중간고사 전면 무효화라는 특단의 조치를 내린다”고 밝혔다. 고려대는 기말고사 대책과 재발 방지 방안을 논의 중이다.

서울 성북구 소재 고려대 본관 전경. 뉴스1

앞서 연세대 신촌캠퍼스 과목 ‘자연어(NLP) 처리와 챗지피티’에선 시험 도중 생성형 인공지능을 사용한 학생들이 적발됐다.

 

학생들은 부정행위 방지를 위해 시험 시간 동안 컴퓨터 화면과 손·얼굴이 나오는 영상을 촬영해 제출해야 했는데, 이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다수의 부정행위가 확인된 것이다. 해당 과목은 600명 정원의 대형강의이며, 동영상 콘텐츠로 학기가 진행되고 있다. 지난달 15일 치러진 중간고사 역시 온라인 방식으로 진행됐다.

 

부정행위 의심자 약 50명 중 현재까지 자수한 학생은 40명이다. 학교는 문제가 된 학생들에 대한 처분을 담당 교수에게 일임하고, 징계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징계위원회에 회부할 방침이다. 담당 교수는 “발뺌하는 학생은 학칙에 나와 있는 대로 유기정학을 추진하겠다”고 했다. 이 수업에서는 지난해에도 학생들 사이 생성형 AI를 활용한 부정행위가 다수 이뤄진 정황이 있는 것으로 추가로 확인됐다.

 

이번 사태를 계기로 연세대는 AI 윤리에 대한 학내 구성원의 의견을 모으는 공청회를 이른 시일 내 열기로 했다. 부정행위와 관련한 처분과 별개로 AI 기능의 고도화와 활용 범위 확대 같은 교육과 평가방식이 어떻게 변해야 하는지 논의할 계획이다.


오피니언

포토

[포토] 아이브 가을 '청순 매력'
  • [포토] 아이브 가을 '청순 매력'
  • 고소영, 53세에도 청순 미모
  • 한소희, 완벽 미모에 감탄…매혹적 분위기
  • 아이유 '눈부신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