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계·환경단체 모두 강력 반발
이재명정부가 새 온실가스 감축 목표 최종 후보안으로 2035년까지 2018년 대비 ‘50∼60%’ 감축 혹은 ‘53∼60%’ 감축 두 가지를 제시했으나 국제사회 기준과 산업계 요구 모두 충족시키지 못하면서 강한 반발을 사고 있다.
정부는 6일 서울 영등포구 국회의원회관에서 ‘2035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2035 NDC)’ 공청회를 열고 최종 후보안 2가지를 공개했다. NDC는 파리기후협약에 따라 각국이 5년마다 유엔에 제출하는 온실가스 감축 계획이다.
첫 번째 후보안은 국가 온실가스를 2035년까지 2018년 대비 50% 감축하는 것을 하한으로, 60% 감축하는 것을 상한으로 한다. 두 번째 후보안은 하한이 53% 감축으로, 상한은 첫 번째 안과 같은 60%다. 2018년 온실가스 순배출량(7억4230만t)과 대비하면 2035년 온실가스 배출량은 50% 감축 시 3억7120만t, 53% 감축 시 3억4890만t, 60% 감축 시에는 2억9690만t을 기록하게 된다. 지난해 국가 온실가스 잠정 배출량(6억9160만t)과 비교하면 앞으로 10년간 최소 3억2040만t, 최대 3억9470만t의 온실가스를 줄여야 한다.
NDC 최종 후보안은 그간 논의된 것과 달리 범위 형태로 제시됐다. 환경부(현 기후에너지환경부)는 지난 9월 국회 기후위기특별위원회에 감축 목표로 48%, 53%, 61%, 65% 등 네 가지 안을 제시했다. 기후부 관계자는 “상한은 정부 지원과 산업구조 전환을 유도하기 위한 것이고, 하한은 규제와 연계됐기에 영향을 면밀하게 검토하기 위해 두 가지 안을 제시한 것”이라고 했다.
그동안 48% 감축도 달성하기 어렵다고 주장해온 산업계는 반발했다. 조영준 대한상공회의소 지속가능경영원장은 “여러 부처와 전문가들이 참여한 기후부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기술작업반의 시나리오 중 가장 강력하고 적극적인 안이 48% 감축”이라며 “과학적으로 오래 검토된 안이 굉장히 약한 감축안으로 취급받아 아쉽다”고 했다.
61% 이상 감축을 주장한 환경단체들도 정부를 비판했다.
박민혜 한국WWF(세계자연기금) 사무총장은 “(정부의) 정책 추진 진정성을 의심케 하며 실질적인 감축 의지가 부족하다는 인상을 준다”며 “명확한 이행 전략 없이 목표만 제시한다면, 그 결과는 더 큰 사회적 혼란과 경제적 피해로 이어질 것이며 결국 그 부담은 미래세대에 전가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남북 조문외교](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5/128/20251105519164.jpg
)
![[세계포럼] 박정희, 정동영과 ‘투 코리아’](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5/128/20251105519161.jpg
)
![[세계타워] 거대한 무기는 만능이 아니다](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5/128/20251105519125.jpg
)
![[열린마당] 비만치료제, 탈 날 수 있어요](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5/128/20251105519112.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