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경기·전남·제주와 함께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으로 최종 지정돼 에너지 신산업 거점으로 도약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 ‘분산에너지 특화지역(분산 특구)’는 에너지를 사용하는 수요지 인근에서 전력을 생산·소비하는 ‘에너지 지산지소’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제도로, 이재명정부 국정과제에 포함된 핵심 에너지 정책 중 하나다.
부산시는 5일 오전 기후에너지환경부장관 주재 에너지위원회에서 전국 최초로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이 확정됐다고 밝혔다.
시는 전국 11개 지자체가 신청한 25개 분산 특구 사업 중 울산·경북·경기·충남·전남·제주와 함께 최종 후보로 선정된 뒤, 이날 에너지위원회에서 최종 분산 특구로 지정됐다. 분산 특구 대상 지역은 강서구 에코델타시티와 명지지구, 강서권 6개 산업단지(명지녹산, 미음, 신호, 화전, 생곡, 국제물류도시)로 총 49.9㎢(1511만평)에 달한다.
부산은 3가지 분산 특구 유형(전력수요유치형, 공급자원유치형, 신산업활성화형) 중 ‘신산업활성화형’으로 지정돼 대규모 에너지저장장치(ESS) 설치와 인공지능(AI) 기반 에너지 관리 효율화를 핵심 내용으로 추진한다.
이번 사업의 핵심인 에너지저장장치(ESS)는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를 활용해 생산된 전력을 저장하고, 필요시 공급함으로써 계통 안정성과 에너지 가격 경쟁력을 동시에 높일 수 있다. 또 ESS장치와 함께 에너지관리시스템(EMS)과 AI 기반 지능형 전력망(스마트 그리드)을 결합해 에너지 수요와 공급을 실시간으로 최적화함으로써 미래형 에너지 모델을 구축한다.
시는 분산 특구 지정으로 △산업체 전기요금 절감 △전력 설비투자비 절감 △재생에너지 출력제한 해소 △기업 유치 촉진 등의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한다. 또 기업들은 대규모(500MWh) ESS 설치로 심야 등 저렴한 시간대 충전한 전력을 최고조(피크) 시간대에 활용함으로써 기업별 최대 8% 수준, 부산 전체 연간 157억원의 전기요금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무정전 전력 공급을 필료로 하는 반도체·데이터센터 등 첨단 산업의 경우 2500억원 규모의 설비 투자비 절감 효과를 비롯해 분산 특구 내 ESS를 통해 총 500MWh의 전력을 저장할 수 있는 안정적이고 저렴한 전력 공급 기반을 확보함으로써 향후 첨단기업 유치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박형준 시장은 “전국 최초 ‘분산에너지 특화 지역’ 지정은 안정적인 전력공급을 넘어 부산의 산업 경쟁력과 도시 경쟁력을 한 단계 높이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이를 계기로 에너지 자립과 탄소중립을 실현하는 친환경 에너지 글로벌 허브도시로 나아가겠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학폭 대입 탈락](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4/128/20251104518667.jpg
)
![[데스크의 눈] 트럼프와 신라금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08/12/128/20250812517754.jpg
)
![[오늘의 시선] 巨與 독주 멈춰 세운 대통령](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4/128/20251104518655.jpg
)
![[김상미의감성엽서] 시인이 개구리가 무섭다니](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4/128/20251104518643.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