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금값 폭락했는데”…오히려 ‘이것’에 1500억 몰렸다!

관련이슈 이슈플러스

입력 : 2025-11-05 05:00:00 수정 : 2025-11-05 05:19:39
김현주 기자 hjk@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금값 급락에도 자금은 몰려”…안전자산 선호, ETF로 향하다
‘금 ETF’에 무려 1500억 유입…개인투자자 ‘저가 매수’ 활발해

최근 급등세를 보이던 금값이 조정을 받으며 급락했지만, 투자자들의 ‘금 사랑’은 식지 않았다.

 

단기 조정에도 금 ETF 자금 유입이 지속되는 현상은 투자자들이 여전히 금의 중장기 가치를 신뢰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게티이미지

오히려 국내 금 관련 상장지수펀드(ETF)에 사상 최대 규모의 자금이 몰리며, 안전자산에 대한 투자 열기가 여전함을 입증했다.

 

◆금리 인하 앞둔 ‘조정기’…“중장기 상승 신호 여전해”

 

5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최근 한 주(10월27일~11월2일) 동안 원자재 관련 ETF 가운데 자금 유입 규모가 가장 컸던 상품은 ‘ACE KRX금현물’로, 단 한 주 새 1151억원이 신규 유입됐다.

 

이어 ‘TIGER KRX금현물’(399억원), ‘ACE 골드선물 레버리지(합성H)’(51억원) 등이 뒤를 이었다.

 

같은 기간 금 관련 ETF에만 1500억원 이상이 순유입되며, 전체 원자재 ETF 중 ‘자금 블랙홀’ 역할을 했다.

 

흥미로운 점은 금값이 오히려 떨어지는 와중에도 돈이 몰렸다는 것이다.

 

지난주 금 현물 ETF 수익률은 -3% 안팎으로 모두 손실을 기록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투자자들은 ‘지금이 저가 매수의 기회’라며 공격적으로 금을 사들이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 금값 급락을 단기 조정으로 해석하며, 금리 인하 사이클 진입 전의 ‘숨 고르기 국면’으로 보고 있다.

 

금융업계 한 관계자는 “최근 금값 조정은 단기 이익 실현에 따른 자연스러운 흐름”이라며 “글로벌 금리 인하 기조와 지정학 리스크 확대를 고려하면 중장기적으로 금 가격 상승 압력은 여전히 유효하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국제 금값은 연초 이후 15% 이상 상승하며 사상 최고가를 경신한 바 있다.

 

이후 미국 국채금리 상승과 달러 강세로 단기 조정을 받았지만, 미 연준의 금리 인하 전환 시점이 다가오면 다시 반등세로 전환할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 우세하다.

 

◆“안전자산 선호 여전”…ETF 통한 ‘분산투자’ 확대

 

증권가에서는 금 ETF로의 자금 유입을 ‘안전자산 선호 심리의 연장선’으로 해석한다.

 

금 가격이 급락했음에도 오히려 자금이 몰린 것은 변동성 확대 국면에서 투자자들이 가격 조정을 매수 기회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란 분석이다.

 

실물 금과 달리 보관 부담이 없는 ETF는 개인 투자자 접근성이 높고, 소액으로도 분산투자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인기다.

 

최근 개인투자자들이 금값 하락 시마다 ‘저가 매수’에 나서며 시장 유동성을 키우는 모습이 뚜렷하다.

 

◆포트폴리오 헤지 수단으로 금 역할 부각

 

자산운용업계는 이번 자금 유입을 단기 차익보다는 ‘전략적 자산 배분’의 결과로 본다.

 

한 자산운용사 관계자는 “최근 ETF 자금 유입은 단기 매매보다 장기 분산투자 목적이 많다”며 “글로벌 경기 둔화와 미 금리 인하 기대가 겹치면서 금의 실질 수요가 강화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금은 주식·채권시장 변동성 확대 국면에서 효율적인 ‘헤지(hedge) 자산’으로 평가받는다.

 

실제로 일부 기관투자자들은 포트폴리오 내 금 비중을 5~10%까지 늘리며 방어적 전략을 강화하고 있다.

 

◆“단기 변동성 유의해야”…전문가들 ‘분할 매수’ 조언

 

일부 전문가들은 단기적인 가격 변동성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한다.

 

금융투자업계 한 관계자는 “현재 금 ETF 자금 유입은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과도하게 반영된 결과일 수 있다”며 “단기 변동성이 큰 만큼, 무리한 매수보다는 분할 접근이 바람직하다”고 전했다.

 

국제 금값은 달러와 미국 국채금리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만큼, 향후 미국 연준의 금리 결정과 중동 지역 지정학 리스크가 향후 흐름을 좌우할 핵심 변수로 꼽힌다.

 

금리 인하, 경기 둔화, 지정학적 리스크 확대 등 불확실성이 커질수록 금의 매력은 더 커질 수 있다. 게티이미지

단기 조정에도 금 ETF 자금 유입이 지속되는 현상은 투자자들이 여전히 금의 중장기 가치를 신뢰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금리 인하 △경기 둔화 △지정학적 리스크 확대 등 불확실성이 커질수록 금의 매력은 더 커질 수 있다.

 

결국 이번 조정은 끝이 아닌 다음 상승의 숨 고르기라는 것이 시장의 중론이다.


오피니언

포토

카리나 완벽 얼굴형에 깜짝…꽃 그림 들고
  • 카리나 완벽 얼굴형에 깜짝…꽃 그림 들고
  • 나나 매혹적인 자태
  • 아이들 미연 '너무 사랑스러워'
  • 조윤수 '사랑스러운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