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한·중 ‘원·위안 통화스와프’ 5년 연장

입력 : 2025-11-03 18:26:02 수정 : 2025-11-03 18:26:02
윤솔 기자 sol.yun@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정상회담 계기 기존 계약 갱신
70조원 규모… “시장안정 기여”

한국과 중국이 지난 1일 이재명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간의 정상회담을 계기로 70조원 규모의 원·위안 통화스와프를 갱신했다고 한국은행이 3일 밝혔다.

한은과 중국인민은행은 지난 1일 한·중 정상회담과 연계해 4000억위안(70조원) 규모의 5년 만기 통화스와프 갱신계약을 체결했다. 같은 규모로 체결했던 기존 계약은 지난달 10일부로 만료됐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와 다이빙 주한중국대사가 1일 경북 국립경주박물관에서 이재명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참석한 가운데 '원/위안 통화스왑 계약'을 체결하고 있다. 연합뉴스

통화스와프는 자국 통화를 맡기고 상대국 통화를 미리 약정한 환율에 따라 빌려오는 계약으로, 상대국에 진출한 금융기관이 통화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차입 경로를 제공해 외환시장 안정화에 도움을 준다. 장기적으로는 비(非)기축통화인 원화의 대외활용도를 높여 국제적 위상을 제고하는 효과도 있다.

한은은 “한·중 통화스와프 갱신은 양국 간 교역촉진 및 역내 금융시장 안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한·중 통화스와프는 2009년 금융위기 직후 1800억위안(30조원) 규모로 처음 체결한 후 규모를 점차 늘려 왔다. 2011년 이명박 정부 때 리커창 당시 상무부총리 방한을 계기로 3600억위안(65조원)으로 확대했고, 2017년에는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갈등으로 연장 여부가 불투명했지만 동일 규모로 갱신계약을 맺었다.

2020년에는 규모를 지금과 같은 70조원으로 확대하고 만기 기간도 3년에서 5년으로 연장했다. 이는 중국이 맺은 통화스와프 중에서도 홍콩(4000억위안)과 함께 최대 규모다. 한국 입장에선 캐나다와 맺은 무제한 통화스와프를 제외하면 최대 규모다.

현재 한국이 양자 간 통화스와프 계약을 맺은 나라는 캐나다·중국·스위스·인도네시아·일본·호주·아랍에미리트·말레이시아·튀르키예 등 9개국이다.


오피니언

포토

전종서 '순백의 여신'
  • 전종서 '순백의 여신'
  • 이유미 '반가운 손인사'
  • 카리나 완벽 얼굴형에 깜짝…꽃 그림 들고
  • 나나 매혹적인 자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