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속보] APEC ‘경주선언' 채택…AI·인구구조 대응도 포함

입력 : 2025-11-01 14:10:48 수정 : 2025-11-01 14:15:35
김수연 기자 sooya@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경주선언, ‘연결·혁신·번영’ 기본 틀
‘문화창조산업’ 협력 필요성 명문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21개 회원 정상들이 1일 ‘APEC 정상 경주선언’을 비롯해  ‘APEC AI 이니셔티브’, ‘APEC 인구구조 변화 대응 공동 프레임워크’를 채택했다. 

 

1일 이재명 대통령이 경북 경주시 화백컨벤션센터(HICO)에서 열린 2025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마친 후 회원국 정상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경주선언은 먼저 올해 APEC의 3대 중점과제인 ‘연결·혁신·번영’을 기본 틀로 무역·투자, 디지털·혁신, 포용적 성장 등 APEC의 핵심 현안에 대한 주요 논의를 포괄해 담았다.

 

대통령실은 “경주선언은 국제경제의 불확실성이 심화하는 가운데 21개 회원이 무역을 비롯한 주요 글로벌 경제 현안에 대해 포괄적 협력의 방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이를 통해 APEC 회원들은 연대와 협력정신을 복원하고 아태지역 경제번영을 위해 함께 노력해나갈 토대를 마련한 것으로 평가된다”고 밝혔다.

 

특히 이번 경주선언은 ‘문화창조산업’을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신성장동력’으로 인정하고 협력 필요성을 명문화했다. 이는 ‘문화창조산업’을 명시한 APEC 첫 정상 문서라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대통령실은 “향후 우리 ‘K-컬처’가 아태지역 내 성장 동력으로 자리 잡는 계기가 마련된 것으로 평가된다”고 설명했다. 

 

이번에 함께 채택된 ‘AI 이니셔티브’는 모든 회원이 AI 전환 과정에 참여하고 AI 기술 발전의 혜택을 공유할 수 있도록 △AI 혁신을 통한 경제성장 촉진 △역량 강화 및 AI 혜택 확산  △AI 인프라 투자 확대 등이 주요 내용이다. 

 

‘인구구조 변화 대응 공동 프레임워크’는 저출생·고령화 등 인구구조 변화가 역내 공통 도전과제라는 인식에 따라 마련됐다.

 

이와 관련해 정부는 2026년 ‘APEC 인구정책포럼’을 열어 이 분야 역내 협력과 정책 연계 강화를 지속 선도해 나갈 예정이다.


오피니언

포토

[포토] 윈터 '깜찍하게'
  • [포토] 윈터 '깜찍하게'
  • 정채연 '깜찍한 볼하트'
  • 김유정 '친애하는 X'
  • 아이브 레이 '완벽한 비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