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속보] 젠슨 황 “한국은 AI 주권 국가…SW·제조·AI 3가지 역량 갖춰”

입력 : 2025-10-31 17:58:00 수정 : 2025-10-31 17:47:27
박윤희 기자 pyh@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31일 경북 경주 예술의전당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최고경영자 서밋 특별 세션에서 연설하고 있다. 연합뉴스(공동취재)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31일 “한국과 그간 함께 여정을 해서 기쁘다”며 “이제 한국은 AI 주권국가”라고 애정을 드러냈다.

 

황 CEO는 이날 오후 경주 예술의전당에서 열린 2025 아시아태평양경제협의체(APEC) CEO 서밋에서 마지막 특별 강연 연사로 인공지능(AI) 산업의 미래와 엔비디아의 비전을 공유했다.

 

황 CEO는 전날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과 가진 치맥 회동으로 말문을 열었다.

 

그는 “어제 먹었던 깐부치킨은 정말 맛있었다”며 ”친구들과 치맥을 즐겁게 한 잔 했는데, 한국을 즐기는 데 있어서는 치맥이 최고”라고 말해 웃음을 자아냈다.

 

황 CEO는 “먼저 이렇게 훌륭하고 성공적인 APEC을 한국이 주최한 것에 대해 축하말을 하고 싶다”며 “한국이 이 큰 행사를 성공적으로 운영해줘서 감사하다”고 말했다.

 

그는 “엔비디아는 30년 전에 한국에 진출했고, 25년 전에 지포스를 출시했다”며 “우리의 기술이 그간 얼마나 발전했는지 모르겠다. 가속 컴퓨팅과 AI는 모든 산업에 영향을 미친다”고 강조했다.

 

황 CEO는 “모든 사람은 이제 AI가 가장 큰 테크놀로지가 될 수 있다고 깨달았다”며 “IT산업은 수조달러 산업이지만 AI는 수백억, 수백조 달러짜리 산업”이라고 말했다. 

 

그는 “전 세계에는 엄청나게 많은 AI 공장이 필요하고, AI 인프라는 전 세계에 건설될 것”이라며 “AI는 산업 혁명”이라고 강조했다.

 

황 CEO는 지금과 같은 시기가 특히 한국에 기회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황 CEO는 “모든 테크놀로지 산업이 중요하지만 지금이 한국에게 특히 기회가 될 수 있는 시기”라며 “전 세계적으로 3개 기본적 핵심 기술을 가진 국가가 몇이나 되겠나”고 말했다. 이어 “(한국은)소프트웨어, 기술, 과학 등을 모두 갖추고 있다”고 덧붙였다. 


오피니언

포토

[포토] 윈터 '깜찍하게'
  • [포토] 윈터 '깜찍하게'
  • 정채연 '깜찍한 볼하트'
  • 김유정 '친애하는 X'
  • 아이브 레이 '완벽한 비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