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민의 오랜 숙원이었던 금정산의 국립공원 지정이 마침내 확정됐다. 이번 지정은 1987년 소백산국립공원 이후 37년 만에 보호지역이 아닌 곳이 새롭게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사례로, 국립공원 제도의 역사적 흐름 속에서도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
부산시는 ‘금정산국립공원 지정 및 공원계획 결정(안)’이 제144차 국립공원위원회를 통과했다고 1일 밝혔다.
 
            부산의 상징이자 자랑인 금정산이 24번째 국립공원으로 최종 지정되면서, 금정산은 대한민국 최초의 ‘도심형 국립공원’으로 새롭게 탄생하게 된다. 금정산은 강원 태백산에서 부산 낙동강 하구로 이어지는 낙동정맥에 자리한 자연과 역사·문화, 시민의 삶이 공존하는 대표적인 도심 생태공간이다. 금정산국립공원의 전체 면적은 66.859㎢로, 부산(52.136㎢, 78%)과 경남 양산시(14.723㎢, 22%)에 걸쳐 있다.
기후에너지환경부(옛 환경부)의 ‘금정산국립공원 지정 타당성조사(2020~2021년)’에 따르면, 금정산은 비보호지역임에도 불구하고 자연생태와 역사문화, 경관적 측면 모두에서 국립공원 지정 기준을 충족한 것으로 평가됐다. 멸종위기종 14종을 포함한 1782종의 야생생물이 서식하고 있으며, 자연경관 71개소와 문화자원 127점이 분포하는 등 국립공원으로 충분한 가치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문화자원 수는 전국 23개 국립공원 중 1위 수준이며, 연간 312만명의 탐방객 수도 전국 국립공원 대비 5위 수준이다.
금정산국립공원 지정 논의는 2005년 시민사회에서 처음 제기된 이후 2014년 10만명 서명운동으로 지정 여론이 확산되면서 2019년 6월 시가 환경부에 공식 건의하면서 본격화됐다. 이 지난한 과정에서 △시민사회 △환경단체 △종교계 △전문가 △공공부문이 꾸준히 공론화 과정을 이어왔다. 특히 금정산국립공원시민추진본부와 금정산국립공원지정시민네트워크 등 80여개의 크고 작은 시민단체가 금정산국립공원 지정 운동을 오랜 기간 전개해 지역사회의 자발적 참여와 지속적인 관심이 만들어낸 대표적인 시민운동으로 평가된다.
대한민국 최초의 도심형 국립공원으로 평가되는 금정산은 향후 ‘자연과 도시가 공존하는 부산’이라는 도시 이미지를 국내외에 각인시키며, 부산의 도시브랜드 가치를 한층 높이는 결정적인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박형준 시장은 “금정산국립공원 지정은 시민의 염원과 공공부문의 꾸준한 추진 및 지역사회의 헌신이 함께 만들어낸 부산 공동체의 승리”라며 “금정산을 통해 부산이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생태도시이자 지속 가능한 녹색도시로 나아가는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황정미칼럼] 머니 무브의 종착지는?](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3/128/20251103517547.jpg
)
![[설왕설래] 최장수 사법연수원장](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3/128/20251103517560.jpg
)
![[기자가만난세상] 구경당하는 불쾌함에 대하여](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3/128/20251103517508.jpg
)
![법정서 ‘여사님’을 붙일 수 없는 이유 [서아람의 변호사 외전]](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3/128/20251103514866.jpg
)







![[포토] 윈터 '깜찍하게'](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31/300/20251031514546.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