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현대차, 엔비디아와 ‘AI 모빌리티 동맹’… 4조3000억 공동투자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5-10-31 15:25:53 수정 : 2025-10-31 15:25:52
이현미 기자 engine@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자율주행∙스마트 팩토리∙로보틱스 협력 강화
피지컬 AI 분야에 30억달러 공동 투자
차세대 AI칩 블랙웰 기반 새 AI팩토리 구축
현대차∙엔비디아∙과기정통부 MOU체결

현대자동차그룹이 차세대 인공지능(AI)칩 ‘엔비디아 블랙웰’ 기반의 AI 기술을 도입해 자율주행차, 스마트 팩토리, 로보틱스 분야에서 엔비디아와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정의선 현대차 회장과 젠슨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31일 경북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에이펙) 현장에서 만나 모빌리티 솔루션, 차세대 스마트 팩토리, 온디바이스 반도체 혁신 등을 위한 파트너십을 더욱 강화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재명 대통령이 31일 경북 경주화백컨벤션센터에서 젠슨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와 한국 기업 총수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해진 네이버 의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황 CEO, 이 대통령,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양사는 5만장의 블랙웰 그래픽처리장치(GPU)를 활용해 통합 AI 모델 개발, 검증, 실증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 AI 인프라의 전략적 도입을 넘어 ‘피지컬 AI’(Physical AI) 기술 혁신을 위해 함께 노력하기로 했다. 한국 정부의 국가 피지컬 AI 클러스터 구축 정책을 지원하며 정부 관계자들과도 협력할 예정이다.

 

현대차와 엔비디아는 피지컬 AI 분야에 30억 달러(약 4조2795억원)가량을 공동 투자할 것으로 알려졌다. 양사는 △엔비디아 AI 기술 센터(AI Technology Center) △현대차그룹 피지컬 AI 애플리케이션 센터(Physical AI Application Center) △피지컬 AI 데이터센터 등을 한국에 설치할 방침이다. 엔지니어간 교류와 국내 피지컬 AI 인재 양성도 지원한다.

 

현대차∙엔비디아는 이를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국내 피지컬 AI 역량 고도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이날 체결했다. 배경훈 부총리 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피지컬 AI 진흥은 한국이 AI 선진국으로 도약하기 위해 꼭 필요한 부분”이라며 “민·관 협력의 첫 단계를 이뤄 매우 뜻깊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한국의 풍부한 제조업 데이터와 엔비디아의 최슨 AI 인프라가 만나 상생 협력 모델을 구축하고 산업 전반의 제조 인공지능 전환(AX) 혁신을 가속화하는 윈∙윈 효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강조했다.

젠슨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지난 30일 서울 삼성동 한 치킨집에서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과 치맥 회동을 하며 러브샷 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의선 회장은 “엔비디아와의 협력 강화는 AI 기반 모빌리티와 스마트 팩토리 시대를 선도하기 위한 도약”이라며 “양사는 첨단 기술 개발을 넘어 대한민국 AI생태계를 공동 구축해 혁신을 가속화하고 인재 육성과 글로벌 AI 리더십 확보까지 협력을 지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젠슨황 CEO는 “AI는 산업의 모든 측면을 혁신할 것”이라며 “운송 분야만 보더라도 “차량 설계 및 제조부터 로보틱스, 자율주행에 이르기까지 엔비디아의 AI와 컴퓨팅 플랫폼은 세상이 움직이는 방식을 변화시키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의 대표 산업 중심 기업이자 세계 최고 모빌리티 솔루션 기업 중 하나인 현대차그룹과 지능형 자동차와 공장을 구현해 향후 수조 달러 규모로 성장할 모빌리티 산업을 함께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현대차는 엔비디아 AI 기술을 기반으로 핵심 인프라를 구축해 차량 내 AI, 자율주행, 생산 효율화, 로보틱스의 혁신을 이뤄낼 방침이다.

젠슨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지난 30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 K-POP 광장에서 열린 지포스 게이머 페스티벌 무대에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정의선 현대차동차그룹 회장과 함께 오른 모습. 뉴스1

현대차는 현재 △엔비디아 DGX(대규모 AI 모델의 학습, 추론, 분석을 위한 시스템) △엔비디아 옴니버스(가상 환경를 구축하기 위한 플랫폼) △엔비디아 드라이브 AGX 토르(두뇌 역할을 하는 자동차용 고성능 시스템 반도체) 등 3가지 AI 컴퓨팅 플랫폼을 활용하고 있다. 이는 AI 팩토리와 자동차 공간의 근간을 이루는 기술들이다.

 

현대차는 또 자동차 설계와 제조 방식을 근본적으로 바꾸는 완전 자율형·소프트웨어 중심 공장 구축, 생산 라인에 배치되는 로봇 정밀성 향상, 광범위한 시뮬레이션을 통한 자율주행 기술 고도화, 개인화된 디지털 어시스턴트, 지능형 인포테인먼트,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ADAS), 차세대 안전 기능 개발 등에도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현대차는 “엔비디아와 함께 차량과 공장을 개별 시스템에서 하나의 상호 연결된 지능형 생태계로 발전시키며 글로벌 자동차 산업의 미래를 위한 새로운 기준을 제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오피니언

포토

[포토] 윈터 '깜찍하게'
  • [포토] 윈터 '깜찍하게'
  • 정채연 '깜찍한 볼하트'
  • 김유정 '친애하는 X'
  • 아이브 레이 '완벽한 비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