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한국이 최고”…신라 금관 받고 ‘황홀경’ 빠진 트럼프 ‘덩실덩실’ 무슨 일?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 이슈플러스

입력 : 2025-10-31 05:58:07 수정 : 2025-10-31 07:18:34
김기환 기자 kkh@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이재명 대통령으로부터 선물받은 천마총 금관 모양을 착용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합성 영상이 온라인에서 밈(Meme)화돼 급속도로 퍼지고 있다. 외신은 금관 선물을 두고 최근 트럼프 대통령의 권위주의적 통치 방식을 규탄하는 ‘노 킹스(No Kings·왕은 없다)’ 시위가 이뤄진 상황에서 전해진 것이라고 짚었다.

 

왕관을 쓴 트럼프 대통령. 엑스 캡처

29일(현지시간) 소셜미디어 X(엑스·옛 트위터) 등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금관을 쓴 채 왕관을 쓴 멜라니아 여사와 손을 잡고 춤을 추는 합성 영상이 확산했다. 영상 속 두 사람은 화려한 조명 아래에서 손을 맞잡고 춤을 추며, 주변 인물들은 이를 바라보며 박수를 치고 있다.

 

또 왕관을 쓴 트럼프 대통령이 전투기를 몰고 시위대에 오물을 투척하는 장면이나, 금관 앞에서 포즈를 취한 이미지 등 각종 풍자물이 온라인에서 잇달아 공유되고 있다.

 

미국 주요 언론도 이번 금관 선물에 주목했다.

 

워싱턴포스트는 “이 금관은 10세기까지 한반도의 대부분을 통치하고 경주를 수도로 삼았던 신라 왕국의 유물을 복제한 것으로, 왕권을 상징하는 금관이 미국 전역에서 '노 킹스' 시위가 한창인 시점에 전달됐다”고 전했다. 뉴욕포스트 역시 “트럼프 대통령이 민주당 주도의 반(反)권위 시위 11일 만에 왕관을 받았다”고 보도했다.

 

‘노 킹스’ 시위는 트럼프 대통령의 권위주의적 통치를 규탄하는 집회다. 이달 18일 워싱턴 D.C.를 비롯한 미국 50개 주에서 동시에 열렸다. 약 700만 명이 참여하며 지난 6월보다 규모가 확대된 것으로 알려졌다.

 

영국 일간지 ‘더 미러(The Mirror)’는 트럼프 대통령이 금관을 받은 순간의 반응을 상세히 전했다. 매체는 바디랭귀지 전문가 ‘주디 제임스(Judi James)’의 분석을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은 금관을 받은 직후 눈을 떼지 못했고, 마치 황홀경에 빠진 듯한 표정을 지었다”고 전했다.

 

제임스는 “그의 행동은 선물이 마음에 들었을 때 보이는 전형적인 반응”이라며 “트럼프는 이미 ‘이 금관을 언제, 어떤 자리에서 쓸 수 있을까’를 상상하는 듯했다”고 평가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실제로 선물 수여식에서 “정말 아름답다. 특별하다”며 기쁨을 감추지 않았다. 이날 그는 경주국립박물관에서 열린 한미 정상회담 직후 무궁화대훈장을 수여받고 금관을 선물로 전달받았다.

 

제임스는 “그의 입술은 다물려 있었지만 몸을 좌우로 약간 회전시키며 억눌린 즐거움을 표현했고, 이 대통령에게 ‘부분적 포옹’을 하는 모습도 보였다”며 “이는 진심으로 감사하지만 공적 자리에서 감정을 자제하는 제스처”라고 분석했다.

 

대통령실은 "경주를 국빈으로 찾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한반도에 평화를 가져온 신라의 정신과 한미동맹의 황금기를 상징하는 의미로 금관을 준비했다"고 설명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29일 경북 경주박물관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천마총 금관 모형’을 선물하고 있다. 뉴시스

트럼프 대통령의 금관 선물이 ‘왕관’과 ‘권위주의’라는 상징적 소재로 결합되면서, SNS상에서는 풍자와 논쟁이 동시에 확산 중이다.

 

미국 누리꾼들은 “한국이 트럼프가 뭘 좋아하는지 알고 영리하게 판을 짰다”, “트럼프는 반짝이는 금빛 물건을 좋아한다”, “트럼프가 받은 왕관의 왕조는 재정 불안, 과한 세금, 부의 불평등, 그리고 왕에 대한 대규모 반란으로 무너졌다”는 댓글을 달았다.


오피니언

포토

[포토] 윈터 '깜찍하게'
  • [포토] 윈터 '깜찍하게'
  • 정채연 '깜찍한 볼하트'
  • 김유정 '친애하는 X'
  • 아이브 레이 '완벽한 비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