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6·25 전쟁 휴전 이후 법적으로 여전히 전쟁 상태인 한반도의 평화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추진했던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깜짝 회동’은 무산됐지만, 향후 대화 재개 의지를 거듭 드러낸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29일 경주에서 열린 한미 정상회담 모두발언에서 “나는 한반도가 공식적으로 전쟁 상태라는 것을 알고 있으며, 그 모든 것을 바로잡기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을 살펴보겠다”고 말했다.
이어 “이재명 대통령과 그의 팀, 그리고 많은 이들과 함께 합리적인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그는 “김정은을 잘 알고 있다. 우리는 잘 지내왔다”며 “이번엔 일정이 맞지 않았다”고 아쉬움을 표했다. 이번 방한 기간 김 위원장과의 회동 의사를 여러 차례 밝힌 바 있지만, 북한 측의 반응은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30일 예정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회담에 대해 “그를 만나기를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김정은을 포함해 모두와 협력해 상황을 바로잡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며 대북 대화의 문을 닫지 않았다.
그는 “내가 좋아하는 표현 중 하나는 ‘상식’이다. 모든 일이 잘 풀려야 한다는 건 상식”이라며 “시간이 걸릴 수 있지만 인내심을 가지면 반드시 그렇게 될 것이라 확신한다”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우리는 방어와 공격 능력을 모두 갖췄으며, 방어는 다른 나라를 돕는 데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여러분 머리 위에 드리워진, 내가 ‘남아 있는 구름’이라고 부르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구름’은 한반도 정세나 통상 문제 등 한미 간 현안을 포괄적으로 지칭한 것으로 해석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의 산업 발전을 높이 평가하며 “여러분이 짧은 시간 안에 이뤄낸 일들이 놀랍다. 한국은 이제 조선업의 대가가 됐다”고 말했다.
이어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미국은 조선업 1위였지만, 이후 잘못된 결정과 무관심으로 쇠퇴했다”며 “이제 한국과 함께 미국 내 조선소에서 선박을 건조하고 있다. 짧은 기간 안에 다시 정상권으로 올라설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는 오랫동안 특별한 유대를 이어왔지만, 지금처럼 강했던 적은 없었다”며 “이는 엄청난 영광”이라고 말했다.
또 인공지능(AI)과 자동차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양국의 협력을 강조하며, “많은 일본 자동차 회사들이 미국에 다시 투자하고 있다. 도요타가 100억 달러 규모 투자를 발표한 것도 그 일환”이라고 언급했다.
그는 회담에 참석한 한국 측 인사들을 향해 “그들과 협상해온 경험이 있다. 매우 강경한 협상가들이다. 하지만 우리가 협력하고 있다”고 웃으며 말했다.
이날 회담에는 미국 측에서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 수지 와일스 백악관 비서실장 등 핵심 인사들이 대거 배석했다. 케빈 김 주한미국대사 대리도 자리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핵추진잠수함](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30/128/20251030521844.jpg
)
![[기자가만난세상] 한 줄의 문장을 위해 오늘도 뛴다](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30/128/20251030521804.jpg
)
![[세계와우리] 멀어진 러·우 종전, 북핵 변수 될까](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30/128/20251030521831.jpg
)
![[삶과문화] 공연장에서 만난 안내견](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30/128/20251030521767.jpg
)





![[포토] 윈터 '깜찍하게'](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31/300/20251031514546.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