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배치 질서 유지·교육감 방문
수능 앞둔 학생들 후문으로 하교
29일 오후 2시30분쯤 서울 서초구 서초동에 “위안부는 가짜”를 외치는 시위대 6명이 ‘위안부 소녀상’이 설치된 A고등학교에 신고한 집회를 강행했다. “매춘 진로지도 하나? 흉물 소녀상을 철거하라”는 현수막을 손에 든 위안부법폐지국민행동 등은 이날 학교를 둘러 배치된 경찰의 통제와 굳게 닫힌 바리케이드에 막혔다. ‘위안부가 한 달에 1500엔을 받았다’는 내용의 손팻말을 든 2∼3명은 주변에서 기습 시위를 이어갔다. 학생들은 오후 3시쯤 모두 후문으로 하교했다.
이날 서울 성동구 B고등학교에도 이들 단체가 시위를 예고하면서 오후 1시쯤부터 경찰 수십명이 배치됐다. 학교 정문 진입로에는 경찰 차가 통행을 막고 있었다. 서울 종로구 수송동에 설치된 또 다른 소녀상 인근에서 열린 수요시위를 마치고 이들에 반대 뜻을 밝히기 위해 온 시위자들도 있었다. ‘잊지 않겠습니다. 진정한 대한민국의 자랑스러운 영웅’ 등이 적힌 손팻말을 든 김부미(57)씨는 “일본군 성노예제 피해 할머니들이 한 분씩 돌아가시는데, 소녀상은 일제 식민지 역사를 기억하기 위한 것”이라며 “이를 ‘매춘’이라고 주장하는 것은 일본 제국주의로 희생된 분들에 대한 모욕”이라고 비판했다.
이날 B고를 찾은 정근식 서울시교육감은 “수능 시험이 2주일 앞으로 다가온 시점에서 학교 인근에서 시위가 계획되고 길어지는 것은 학습권 침해”라며 “일본의 강제적 위안부 동원은 이미 범죄로 규정됐는데 이를 왜곡하는 행위가 재발하지 않도록 서울시교육청이 강력히 대비하겠다”고 말했다. 또 이들 집회를 향해 “정서적인 테러나 마찬가지다. 매주 이렇게 할 수 없으니 다른 대책을 고민해보겠다”고도 말했다. 서울시교육청은 소녀상 철거 시위와 관련해 ‘24시간 학교 앞 집회 제한’을 관할 경찰서와 학교 측과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들 학교에는 각각 2017년, 2013년 교내에 소녀상이 설치됐다.
김병헌 위안부법폐지국민행동 대표는 “위안부는 사기이며 이들은 자발적이었다”며 “서울을 비롯해 춘천, 부산 등 다른 학교들에서도 시위를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경찰은 이들 집회에 제한 통고를 내렸다. 등하교 및 수업시간(오전 7시30분∼오후4시30분) 집회를 제한했다. B여고에서 만난 경찰 관계자는 “제한 통고에도 집회 강행을 예고했다”며 “학생들 안전에 위험이 우려돼 2개 기동대 경력을 배치했다”고 밝혔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이집트 대박물관 개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2/128/20251102510407.jpg
)
![[특파원리포트] 경주에서 나온 복원의 첫 장면](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2/128/20251102510411.jpg
)
![[박영준칼럼] 美 위기 징후와 동맹전략의 과제](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2/128/20251102510379.jpg
)
![[심호섭의전쟁이야기] 저격능선·삼각고지 전투서 홀로 빛난 국군](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2/128/20251102510392.jpg
)






![[포토] 윈터 '깜찍하게'](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31/300/20251031514546.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