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감사에 출석한 김성환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이 추진을 멈춘 지천댐을 두고 공론화위원회를 거쳐 최종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김 장관은 29일 오전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종합감사에 출석해 “충남 청양·부여 지역의 지천댐 관련 주민들 의견 수렴을 진행했냐”는 국민의힘 윤상현 의원의 질의에 “공론화위원회를 정식으로 만들어 찬반 의견을 들은 뒤 추진 여부를 최종 결정하겠다”고 답했다.
지천댐은 윤석열정부가 계획했던 신규 기후대응댐 후보지 14곳 중 하나였다. 윤석열정부는 지난해 7월 신규 댐 건설 계획 발표 이후 지천댐을 비롯해 일부 댐들을 두고 주민들의 반대가 격해지자 올해 3월 후보지 5곳에 대한 사업을 보류하겠다고 발표했다. 이재명정부가 들어선 후 당시 환경부는 윤 정부에서 보류한 5곳에 더해 2곳을 추가로 취소했다.
윤 의원은 “(추진을) 중단한 7개 댐은 주민 설명회를 열어 공론화했는데, 지천댐은 공론화를 하지 않았다”며 주민투표 등을 통해 공론화할 계획이 있느냐고 물었다. 김 장관은 “주민투표로 정할 일은 아니라고 판단한다. 지천댐 같은 경우는 공론화위원회를 정식으로 만들어서 찬반 의견을 들을 예정”이라며 “과학적으로 어떤 것이 가장 합리적인지를 판단하고 그 이후에 최종적으로 추진 여부와 방식 등을 결정하려고 한다. (지천댐 등 찬반이 엇갈리는 후보지는) 다 정밀 재검토 영역으로 남겨뒀다”고 설명했다.
윤 의원은 추가로 충남 서북권이 상습 가뭄지역이라 지천댐을 취소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말하자 김 장관은 지역주민의 수용성을 우선하겠다고 답했다. 손옥주 기후부 기획조정실장 대행은 “지난 정부 때도 필요성에 의해서 (신규 댐 추진을) 했지만, 강원 양구댐 등 더 큰 댐도 지역의 반대 때문에 못했다”며 “지천댐도 직접 가보면 반대 여론의 정도가 굉장히 세, 주민 설명회를 공식적으로 하지 못하고 세모로 남겨둔 지역 중 하나”라고 설명했다.
한편 김 장관은 4대강 재자연화에 대해 “원점부터 시작하는가”라는 더불어민주당 강득구 의원에 질의에 대해서는 “문재인정부 결정을 존중하겠다”고 답했다. 김 장관은 “윤석열정부 들어서 4대강별로 있었던 (공론화를 위한) 민관협의체 조직을 해체해 버렸다. 지금 (보 개방을) 협의할 수 있는 공론 조직이 사라진 상태라 복원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금강과 영산강은 복원했고 낙동강과 한강은 지금 복원 중이다. 민관협의체가 다시 살펴보고, 3기 위원회가 만들어지면 그를 통해 최종 확정하겠다”고 설명했다.
김 장관은 ‘문재인정부 결정을 바탕으로 재자연화 방향성을 잡아가는가’라는 강 의원 질의가 이어지자 “똑같이 한다는 뜻은 아니지만 문재인정부 결정을 존중해야 한다”고 답했다.
앞서 문재인정부는 이명박정부가 추진했던 4대강 사업 때 설치된 16개 보를 해체하거나 개방하겠다고 구상한 바 있다. 하지만 윤석열정부 때 해당 정책이 폐기됐고, 이재명정부 출범 후엔 다시 방향을 바꿔 재자연화를 국정과제로 삼은 바 있다. 기후부는 4대강 유역협의체를 복원해 공론화를 추진하고, 지역별 상황에 따라 일부 보를 개방, 철거하겠다는 입장이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학폭 대입 탈락](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4/128/20251104518667.jpg
)
![[데스크의 눈] 트럼프와 신라금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08/12/128/20250812517754.jpg
)
![[오늘의 시선] 巨與 독주 멈춰 세운 대통령](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4/128/20251104518655.jpg
)
![[김상미의감성엽서] 시인이 개구리가 무섭다니](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4/128/20251104518643.jpg
)







![[포토] 윈터 '깜찍하게'](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31/300/20251031514546.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