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울산 광역형 비자 확대에 뿔난 주민들

입력 : 2025-10-30 06:00:00 수정 : 2025-10-30 09:16:25
울산=이보람 기자 boram@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市, 조선업 인력 부족 해소 차원
외국인 근로자 유입 추진 나서
고용 감소·임금 하락 등 우려에
동구 살리기 조직위, 서명운동
“숙련공 유지 등 구조 전환 필요”

HD현대중공업 등 대형 조선소가 위치한 울산 동구에서 ‘광역형 비자’ 확대에 반대하는 주민 서명운동이 확산하고 있다. 울산시가 조선업에서 부족한 인력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외국인 근로자 유입을 추진하고 있으나, 주민들은 “내국인 숙련공 일자리가 줄어들고, 임금이 하락하고 있다”며 반대하고 있는 것이다.

 

서명운동을 주도하고 있는 ‘제5회 동구 살리기 주민대회 조직위원회’는 “다음 달 중순까지 온·오프라인으로 주민들의 서명을 받고 있다”고 29일 밝혔다.

제5회 동구 살리기 주민대회 조직위원회가 조선소가 밀집한 울산 동구 아파트단지 등에서 울산시가 추진하는 ‘광역형비자’ 확대에 반대하는 주민들의 서명을 받고 있다. 조직위 제공

제5회 동구 살리기 주민대회 조직위원회가 조선소가 밀집한 울산 동구 아파트단지 등에서 울산시가 추진하는 ‘광역형비자’ 확대에 반대하는 주민들의 서명을 받고 있다. 조직위 제공

 

온라인 서명은 구글 폼을 통해 이뤄지고 있고, 오프라인 서명은 지난 13일부터 동구지역 전통시장 등에서 진행되고 있다. 목표는 1만명 정도다. 이날 현재까지 2000여명의 서명이 이뤄졌다. 서명지는 울산시와 고용노동부 등에 전달할 예정이다.

 

조직위원회는 “조선업 인력난을 명분으로 외국인 고용이 늘어나면서 동구지역의 외국인 근로자 유입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면서 “이로 인해 숙련공 임금이 하락하고 고용 불안이 커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이러한 외국인 근로자 유입 확대로 조선업이 단기 비정규직 중심 산업구조로 고착될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한다. 조직위원회는 “인력난 문제를 풀기 위해선 외국인 고용 확대가 아닌 숙련공 유지와 원·하청 이중구조 개선 등 구조적 전환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직위원회는 또 “조선업이 호황기인데도 동구는 상가 폐점과 지역 슬럼화, 인구감소가 이어지면서 생활 여건이 악화된 상황”이라며 “정주여건을 높여 지역경제가 순환할 수 있는 실질적 지원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울산시는 지난 5월 법무부의 ‘광역형 비자’ 시범사업 대상 지자체로 선정됐다. 인력난에 시달리는 조선업 현장에 도움을 주기 위한 조치다.

 

시는 이와 별도로 조선업 인력난 해소를 위한 해외 기술인력 양성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숙련된 외국인 인재를 울산지역 내 조선소 등에 채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울산시가 교육 기반과 비자 발급을 담당하고, HD현대중공업이 강사와 커리큘럼 지원을, 우즈베키스탄 정부가 인력 모집과 시설을 제공하는 3자 협력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지난 7월엔 우즈베키스탄에서 시행된 ‘글로벌 기술 인재 양성사업’ 1기 수료생 97명이 교육을 마치고 고용허가제로 입국해 울산 지역 조선업체에 배치됐다. 울산시는 우즈베키스탄에서 411명, 베트남 160명, 태국125명 등 추가 기술 인력을 확보할 계획이다.

 

울산시가 해외에서 조선업 인력 양성에 나선 건 조선업 수주는 늘어나는 반면, 일할 사람이 부족해서다. 조선·해양산업 인적자원개발위원회(ISC)에 따르면 지난해 조선업의 미충원율은 14.7%로 전체 산업 평균(8.3%)의 약 두 배 수준이다. 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는 국내 조선업계에 매년 1만2000명가량의 인력이 부족하며, 2027년까지 약 13만명의 추가 인력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했다.


오피니언

포토

[포토] 아이브 가을 '청순 매력'
  • [포토] 아이브 가을 '청순 매력'
  • 고소영, 53세에도 청순 미모
  • 한소희, 완벽 미모에 감탄…매혹적 분위기
  • 아이유 '눈부신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