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익 창출 넘어 동반성장 향해… 기업들 함께 걷는다
기업의 활동은 수익 창출을 넘어 사회와 함께 성장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기후 위기와 지역 불균형, 교육 격차 등 복합적인 사회 문제가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기업들의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 실천이 확대되고 있다.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재생에너지 전환, 기후 대응을 위한 민관 협력, 청년의 성장을 돕는 교육·멘토링 프로그램, 문화예술 창작자 지원 등 지속가능한 사회를 향한 기업의 발걸음이 다방면에서 이뤄지고 있다. 단순한 후원자가 아닌 변화의 동반자로서 미래 세대의 성장을 돕고 소외된 지역을 지원하는 활동과 함께, 인공지능(AI) 등 첨단기술을 이용해 노동자의 안전을 강화하려는 움직임도 눈에 띈다.
동반성장위원회(동반위)와 한국산업단지공단(산단공)은 산업단지 내 중소기업의 ESG 역량 강화를 위한 자율형 ESG 지원사업을 본격 추진하고 있다. 양 기관은 공급망 규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자가진단부터 현장 컨설팅, 공시 시스템 구축에 이르기까지 전방위 지원체계를 구축했다.
전 세계적으로 ESG 경영이 기업 경쟁력의 기준으로 자리 잡으면서, 대기업뿐 아니라 공급망에 속한 중소기업의 대응 능력이 중요해졌다. 특히 유럽연합(EU)의 공급망 실사지침(CSDDD),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등의 시행은 수출 중소기업에 직접적인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동반위와 산단공은 산업단지 입주기업을 대상으로 ESG 자가진단 서비스를 시작했다. 중소기업은 별도의 비용 없이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환경, 사회, 지배구조 전 영역에 걸쳐 자사의 ESG 수준을 진단할 수 있다. 결과는 자동 등급화돼 보고서로 제공되며, 개선이 필요한 항목도 함께 안내된다.
공급망 차원의 ESG 공동대응을 위한 ‘공동 실사패키지’ 사업도 핵심이다. 대기업이 원청으로 참여하고, 협력 중소기업이 함께 ESG 실사에 공동 대응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이를 통해 협력사는 규제에 대한 부담을 줄이고, 대기업은 공급망 안정성을 높이는 효과를 동시에 기대할 수 있다.
ESG 고도화가 필요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는 온실가스 인벤토리, ESG 공시 체계 구축 등 디지털 기반 심화 컨설팅도 제공된다. 이와 함께 ESG 전담인력 양성을 위한 경영자 및 실무자 교육도 함께 운영 중이다.
동반성장위원회 관계자는 “공급망 ESG는 더 이상 대기업만의 과제가 아니다. 중소기업이 준비하지 않으면 판로 자체가 위협받을 수 있다”며 “중소기업의 ESG 경영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핵추진잠수함](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30/128/20251030521844.jpg
)
![[기자가만난세상] 한 줄의 문장을 위해 오늘도 뛴다](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30/128/20251030521804.jpg
)
![[세계와우리] 멀어진 러·우 종전, 북핵 변수 될까](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30/128/20251030521831.jpg
)
![[삶과문화] 공연장에서 만난 안내견](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30/128/20251030521767.jpg
)





![[포토] 윈터 '깜찍하게'](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31/300/20251031514546.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