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화의 상징으로만 여겨지던 흰머리가 사실은 암세포를 방어한 흔적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일본 도쿄대 의학연구소 에미 니시무라 교수 연구진은 지난 6일 국제학술지 '네이처 셀 바이올로지(Nature Cell Biology)'에 게재한 논문에서 흰머리 발생 과정이 피부암(흑색종)과 밀접하게 관련돼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고 발표했다.
연구진은 생쥐 실험을 통해 DNA 손상 스트레스가 모낭 내 멜라닌세포 줄기세포(McSC)의 운명을 결정짓는다는 점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연구진에 따르면 DNA 손상이 발생하면 일부 줄기세포가 정상적인 재생 기능을 멈추고 성숙한 색소세포로 변한 뒤 소멸해, 결과적으로 머리카락이 하얗게 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손상된 줄기세포가 사멸하면서 머리카락의 색을 잃는 방식으로 반응하는 것이다.
반면 또 다른 줄기세포는 손상된 상태로 살아남아 암세포처럼 비정상적으로 분열·이동하는 특성을 보였다. 이는 피부암으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한 경로로, 특히 자외선B(UVB) 등 발암 물질에 노출된 경우에는 머리카락이 하얗게 새는 대신 세포가 암세포로 변하는 사례가 더 많았다.
니시무라 교수는 "동일한 줄기세포 집단이 스트레스의 종류와 주변 환경에 따라 소멸하거나 증식하는 상반된 운명을 보였다"며 "흰머리와 피부암은 무관한 사건이 아니라 줄기세포 스트레스 반응의 서로 다른 결과일 수 있다"라고 말했다.
<뉴시스>뉴시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가난의 대물림](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8/128/20251028518076.jpg
)
![[데스크의 눈] 설국열차와 부동산 시장](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8/128/20251028518087.jpg
)
![[오늘의 시선] 한국외교에 경종 울린 ‘캄보디아 사태’](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8/128/20251028518057.jpg
)
![[안보윤의어느날] 서툰 말 서툰 마음](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8/128/20251028517991.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