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엄태영 의원, 제천 등 지역 주민 공항 이동권 보장 위해 지원 촉구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5-10-27 15:29:54 수정 : 2025-10-27 15:29:52
박연직 선임기자 repo21@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국회 국정감사에서 인천공항과 지역을 연결하는 대중교통의 운영비 지원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의힘 엄태영 의원(사진·충북 제천단양)은 27일 인천국제공항공사에서 열린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지방도시 거주자의 공항 이동권 보장을 위해 정부와 공항당국의 예산 지원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엄 의원은 이날 “제천시와 인천공항을 연결하는 시외버스 노선이 있었지만 코로나19 유행기간 동안 전면 중단됐다가 지난 7월 어렵게 운행을 재개했다”며 “하지만 하루 세번 운행에 불과해 항공편 시간대가 맞지 않으면 사실상 이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엄 의원은 “현재 인천공항 노선 운영비는 해당 지자체가 부담하고 있어 재정 여건을 감안할 경우 지속적인 운행이나 증차는 사실상 어려운 구조”라며 문제를 제기했다.

 

엄 의원은 이학재 인천국제공항공사 사장에게 “인천공항은 국가교통망의 중심 공공기관으로서 제천 단양을 포함한 지역의 균형발전에 기여해 달라”고 주문한 뒤 “교통 사각지대에 놓인 지역에 대해 인천공항공사가 기여금 형태로 시외버스 공항 노선 운영비를 지원할 의사가 있는지” 물었다

 

엄 의원은 또 국내 공항 14곳 가운데 약국이 없는 공항이 10곳에 이르고 있어 국민들이 불편을 겪고 있다고 지적했다. 엄 의원은 “보건복지부의 자문을 받더라도 우선 해열제와 진통제,감기약, 소화제 정도는 공항에 갖춰 놓을 필요가 있다”고 대안을 제시했다.

 

이어 엄 의원은 이학재 인천국제공항공사 사장을 상대로 “2017년 문재인 대통령 취임 후 첫 외부 일정으로 인천공항을 방문해 비정규직 제로를 선언했으며 2020년까지 협력사 직원 9800명을 자회사 3곳에 정규직으로 고용했다”며 “5년이 지난 현재 인력은 전환 규모 대비 7% 증가한 1만 221명이며 비용은 2018년 5248억, 2024년 6588억으로 134억원(25.5%)이 증가했다”고 밝혔다.

 

엄 의원은 “정규직으로 전환됐으면 임금이나 복지측면에서 비교할 때 비정규직 때보다 많이 개선됐음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파업이 발생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엄 의원은 “경비업법상 쟁의가 불가한 인천국제공항 보안을 제외하면 자회사 2곳은 지난해부터 모두 5번에 걸쳐 파업을 하고 있다”며 “근로자들이 임금이나 근무 여건 불합리함을 해소하기 위해 노동 쟁의를 하는 것이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지만 국민들을 볼모로 무리한 파업을 하는 것은 지양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오피니언

포토

복근 드러낸 김태리, 신비롭고 몽환적이고 섹시하고
  • 복근 드러낸 김태리, 신비롭고 몽환적이고 섹시하고
  • 정려원 '완벽한 미모'
  • 초아, 청량한 분위기
  • 박보영 동안 미모 과시…상 들고 찰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