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익명 기부자, 1억3000만달러 쾌척”
민주당은 의도에 의구심… “정체 공개해야”
미국 연방정부의 일시적 업무 정지(셧다운) 기간 동안에도 군인들은 급여를 계속 받을 길이 열려 눈길을 끈다. 문제는 재정 지출이 불가능한 연방정부를 대신해 군인들한테 지불할 돈이 ‘익명의 기부자’가 연 지갑에서 나온다는 점이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이 기부자를 ‘애국자’라고 부르며 칭찬하고 있으나, 일각에서 미군이 정부 예산 아닌 사비(私費)로 운영되는 용병 조직으로 전락하는 것 아니나고 우려를 제기한다.
25일(현지시간) BBC 방송에 따르면 트럼프는 한국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에이펙) 정상회의 참석 등 외교 일정 소화를 위해 이날 출국하며 최근 전쟁부(옛 국방부)가 받은 거액의 기부금을 주제로 기자들과 얘기를 나눴다. 익명의 기부자가 “셧다운 기간 동안 미군 장병들을 위한 급여 지급을 돕고 싶다”며 전쟁부에 기부한 돈은 1억3000만달러(약 1870억원)에 이른다.
트럼프는 “익명의 기부자가 도대체 누구냐”는 기자들의 물음에 “나의 열렬한 지지자이자 미국 시민”이라며 “자신의 정체가 대중에게 알려지길 원치 않는 멋진 사람”이라고 답했다. 이어 “위대한 신사”(great gentleman), “후원자”(patron), “애국자”(patriot) 같은 수식어를 동원했으나 정확한 신원만은 끝내 공개하지 않았다.
미 언론이 기부자에게 관심을 갖는 것은 정부 기관에 내는 기부금 또는 후원금에 관한 법률적·윤리적 제한 때문이다. 일례로 전쟁부의 경우 1만달러(약 1440만원) 이상의 기부금은 그 돈을 내려는 사람이 전쟁부 업무와 직·간접적으로 이해 관계를 맺고 있는지 여부에 관한 심사를 거친 뒤에야 수령이 가능하다. 전쟁부를 매수해 이득을 취하려는 업자가 뇌물을 기부금으로 포장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서다.
앞서 전쟁부는 “내부 규정에 따라 기부금 수령을 허용했다”고 밝혔다. 해당 기부금이 불순한 의도에서 비롯한 돈이라고 의심할 만한 정황이 드러나지 않은 만큼 ‘윤리적 문제가 없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연방정부 다른 기관도 아니고 군대가 익명의 기부자로부터 받은 돈을 군인들 급여의 재원으로 삼는 게 과연 적절한지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상원 군사위원회 소속인 크리스 쿤스 의원(민주당·델라웨어)은 “기부자가 누구인지 모르는 상황에서 우리 군대가 외국 세력에 의해 매수된다면 어떻게 할 것인가”라고 지적했다. 앞서 트럼프가 기부자를 “애국자인 미국 시민”이라고 규정했으나, 정확한 신원이 공개되지 않는 이상 이를 곧이곧대로 믿을 수 없다는 얘기다. 쿤스 의원은 “자칫 미군이 외세로부터 보수를 받고 운영되는 조직처럼 변질하는 등 여러 위험성을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고 꼬집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中 관광객 운전 허용’ 우려](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3/128/20251023519878.jpg
)
![[기자가만난세상] 대사관 역할 아직 끝나지 않았다](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3/128/20251023519838.jpg
)
![[세계와우리] 한·미 산업 재균형도 중요하다](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3/128/20251023519869.jpg
)
![[기후의 미래] 진화하는 전쟁의 기록](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3/128/20251023519807.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