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해군 부사관 선발 역대 최저… 하사 ‘0′명인 잠수함도 있어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5-10-23 13:38:47 수정 : 2025-10-23 13:38:47
박수찬 기자 psc@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해군 잠수함들의 하사 보직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유용원 의원이 해군본부로부터 제출받은 주요 함정별 간부 보직률 현황 자료에 따르면, 올해 9월 기준 잠수함 박위함과 이종무함 하사 보직률은 0%, 안창호함 보직률은 34%에 그쳤다.

 

17일 경남 창원시 진해구 해군교육사령부 기초군사교육단 연병장에서 열린 해군병 717기 수료식에서 717기 해군병들이 힘차게 경례하고 있다. 해군 제공

상사 보직률은 박위함 216%, 이종무함 228%, 안창호함 137%다. 각 잠수함의 하사 공백을 상사가 메우고 있다.

 

구축함도 하사 보직률이 저조했다. 대조영함은 28.6%, 율곡이이함은 39.1%, 광개토함은 53.5%를 기록했다.

 

서해 북방한계선(NLL) 등 연안 방어를 위한 유도탄고속함의 경우에도 현시학함 35.7%, 김수현함 35.7%, 임병래함 50% 등 하사 보직률이 50% 이하다.

 

해군 주요 함정의 하사 보직률이 턱없이 낮은 것은 해군이 신규 부사관 모집이 제대로 되지 않기 때문이다.

 

최근 5년간 신임 하사 선발률은 2020년 89.7%, 2021년 88.9%, 2022년 86.5%, 2023년 62.4%, 2024년 54.7%로 매년 하락하고 있다. 특히 올해 9월 기준 선발률은 43.3%에 불과해 역대 최저치를 경신할 것으로 전망된다.

 

잠수함 승조원 유출 현상도 함께 지적됐다.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황희 의원이 해군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2년 90명, 2023년 71명, 2024년 80명 등 최근 3년간 총 241명의 승조원이 전역(조기전역 및 승조자격 해제)했다.

 

연 80~100명가량인 양성 인원을 고려하면 우려되는 수준이다. 열악한 근무환경 탓으로 분석된다.

 

승조원들도 1회 작전 임무 시 약 3~4주간 외부와 단절된 밀폐된 공간 및 수중 수 백m 위험한 상황에서 장기간 긴장 상태로 임무를 수행한다.

 

이들의 일 근무시간은 당직 8시간, 훈련·정비 4시간 등으로 약 12시간에 달하며, 휴식 시에도 좁고 개방된 거주 공간으로 인해 사생활 보장이 극도로 제한된다. 승조원 1인당 거주 공간은 손원일급 잠수함 1.2평, 장보고급 잠수함 1.1평이다.


오피니언

포토

박보영 '눈부신 미모'
  • 박보영 '눈부신 미모'
  • 41세 유인영 세월 비껴간 미모…미소 활짝
  • 나나 매혹적 눈빛…모델 비율에 깜짝
  • 비비업 킴 '신비한 매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