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군 잠수함들의 하사 보직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유용원 의원이 해군본부로부터 제출받은 주요 함정별 간부 보직률 현황 자료에 따르면, 올해 9월 기준 잠수함 박위함과 이종무함 하사 보직률은 0%, 안창호함 보직률은 34%에 그쳤다.

상사 보직률은 박위함 216%, 이종무함 228%, 안창호함 137%다. 각 잠수함의 하사 공백을 상사가 메우고 있다.
구축함도 하사 보직률이 저조했다. 대조영함은 28.6%, 율곡이이함은 39.1%, 광개토함은 53.5%를 기록했다.
서해 북방한계선(NLL) 등 연안 방어를 위한 유도탄고속함의 경우에도 현시학함 35.7%, 김수현함 35.7%, 임병래함 50% 등 하사 보직률이 50% 이하다.
해군 주요 함정의 하사 보직률이 턱없이 낮은 것은 해군이 신규 부사관 모집이 제대로 되지 않기 때문이다.
최근 5년간 신임 하사 선발률은 2020년 89.7%, 2021년 88.9%, 2022년 86.5%, 2023년 62.4%, 2024년 54.7%로 매년 하락하고 있다. 특히 올해 9월 기준 선발률은 43.3%에 불과해 역대 최저치를 경신할 것으로 전망된다.
잠수함 승조원 유출 현상도 함께 지적됐다.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황희 의원이 해군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2년 90명, 2023년 71명, 2024년 80명 등 최근 3년간 총 241명의 승조원이 전역(조기전역 및 승조자격 해제)했다.
연 80~100명가량인 양성 인원을 고려하면 우려되는 수준이다. 열악한 근무환경 탓으로 분석된다.
승조원들도 1회 작전 임무 시 약 3~4주간 외부와 단절된 밀폐된 공간 및 수중 수 백m 위험한 상황에서 장기간 긴장 상태로 임무를 수행한다.
이들의 일 근무시간은 당직 8시간, 훈련·정비 4시간 등으로 약 12시간에 달하며, 휴식 시에도 좁고 개방된 거주 공간으로 인해 사생활 보장이 극도로 제한된다. 승조원 1인당 거주 공간은 손원일급 잠수함 1.2평, 장보고급 잠수함 1.1평이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