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가 22일(현지시간) 워싱턴에서 무역 합의를 최종 도출하기 위한 막바지 협상에 나섰다. 협상에 나선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일부 진전이 있었다”고 밝혔다.
김 실장과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이날 워싱턴 인근 덜레스 국제공항으로 입국한 뒤 워싱턴에 있는 미 상무부 청사에서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과 약 2시간 동안 만났다. 김 실장은 러트닉 장관을 만나고 난 뒤 기자들을 만나 “남아있는 쟁점에 대해 많은 이야기를 했다”며 “일부 진전이 있었다”고 밝혔다.

그는 잔여 쟁점이 한두 가지라면서 “아주 많지는 않다”고 한 뒤 “논의를 더 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협상이 막바지 단계라고 보면 되느냐’는 질문에는 “막바지 단계는 아니고, 협상이라는 건 끝날 때까지 끝난 건 아니다”라고 답했다.
김 실장은 잔여 쟁점이 무엇인지, 또 이에 대해 어떤 진전이 이뤄졌는지에 대해선 언급하지 않았다. 미해결 쟁점인 3500억 달러(약 500조원) 대미 투자 패키지 구성 방안과 관련해 현금 비율, 자금 공급 기간 등 그간 공개적으로 거론된 한·미 간 이견이 의제에 올랐을 것으로 보인다.
김 실장은 앞서 공항에서 기자들을 만나 “많은 주제는 의견이 많이 근접해 있고, 한두 가지 주제에서 양국의 입장이 차이가 크다”고 밝힌 바 있다. 다만 “많은 쟁점에 대한 이견은 어느 정도 조율이 돼 있고, 우리가 이번에 온 추가 주제에 대해 우리 입장을 미국이 조금 더 진지하게 이해해준다고 하면 좋은 결과가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 실장이 이후 “일부 진전이 있었다”고 한 만큼 이번 방미를 통해 한·미가 조금 더 이견을 좁혔을 가능성이 있다. 김 실장과 김 장관은 이날 곧바로 애틀랜타로 이동해 귀국할 예정이다.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에이펙) 정상회의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참석차 방한하는 만큼 이를 계기로 협상 타결을 위해 막판 스퍼트를 올리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김 실장과 김 장관이 미국을 찾아 러트닉 장관을 만난 것은 지난 16일 이후 엿새 만이다.
이날 협상 후 김 실장은 러트닉 장관과 곧 다시 만날 것이냐는 질문에 “만나기는 어렵다. (더 얘기할 게 있으면) 화상으로 해야 하지 않겠나”라고 답했다. 그는 에이펙 정상회의 전 타결될 것으로 보는지 묻자 “(에이펙이) 우리에겐 중요한 계기”라고 말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