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VH(소음·Noise), (진동·Vibration), (불쾌감·Harshness) 설계 수준급
중국 BYD가 만든 전기차 씨라이언7을 앞선 16일부터 18일까지 시승했다. 이 차를 시승한 결과 ‘대륙의 실수 아닌 위협’으로 다가왔다.
이 차는 단순히 저렴한 가격을 앞세워 국내 시장에 진출하지 않았다. 되레 NVH 면에서는 동급 국산 모델보다 수준 높은 성능을 드러냈다.
특히 높은 가격 경쟁력은 이 가격으로 이런 구성이 가능한가라는 의문이 들 정도다.
국내에 출시된 BYD의 전 차종을 시승했지만 개인적으로 이 차가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BYD의 씨라이언7은 후륜 기반 스포츠유틸리티차(SUV)다. 동급 모델 대부분이 전륜에 기반한 모델임을 보면 상품 구성부터 다른 걸 알 수 있다.
후륜 차의 장점은 타본 사람만이 알 수 있다. 지상고가 높아 빠른 구동에 불리한 SUV지만 전륜 모델과 비교하면 그 차이는 분명하다.
이 차를 스포츠카에 비교할 건 아니지만 완만한 와인딩 구간은 허둥거리지 않는 주행감이 돋보였다. 유사한 급의 전륜 SUV와 비교해 준수한 핸들링 성능을 드러냈다.
또 313마력(230kW)의 출력을 내는 모터의 힘이 더해져 갑갑함 없는 경쾌한 주행이 가능했다.
전기차는 기존 내연기관차보다 높은 토크로 빠른 가속이 가능하다. 다만 이런 출력에도 급은 나뉜다.
200마력쯤 되는 차와 비교해 300마력대 차는 보이는 수치뿐 아니라 한층 부드럽고 빠른 가속감을 느끼게 한다.
이 차에서 특히 주목할 점은 정숙성이다. 조용한 전기차 고유특성에 전면과 앞좌석 창문이 이중접합유리가 적용됐고 후드에는 ‘인슐레이션 패드(흡음재)’가 더해져 매우 뛰어난 정숙함을 드러냈다.
4000만원대 모델에서 이런 정숙함은 BYD의 씨라이언7이 유일하다. 풍절음은 120km/h 이상부터 들려오기 시작했다.
진동면에서도 우수했다. 이 차에는 ‘주파수 가변 댐핑 시스템’이 탑재됐다. 이 시스템은 노면이나 주행 환경에 맞춰 부드러운 승차감을 전달하면서 빠른 주행 시 롤 억제력을 키운 게 특징이다.
실내도 만족스럽다. 이 차는 동급 모델 중 가장 큰 차체를 자랑한다. 여기에 리클라이닝 기능이 더해졌다.
트렁크 용량은 500리터다. 60:40으로 나뉘는 뒷좌석 폴딩시 1769리터까지 확장할 수 있어 캠핑이나 차박 등 야외 활동에서 장점을 가진다. 프런트 트렁크 용량은 58리터다.
또 보급형 전기차에는 없는 ‘V2L(Vehicle-to-Load)’ 기능도 있어 캠핑이나 야외 활동, 비상 상황 등 다양한 환경에서 유용한 전력 공급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
V2L은 최대 3.3kW의 전력을 지원해 대부분 고출력 전자 기기를 사용할 수 있을 거로 보인다.
이밖에 한국 소비자 선호가 높은 열선 및 통풍 시트, 티맵 내비게이션 등 편의 사양이 기본으로 탑재됐고, ‘ADAS(최첨단 주행보조 시스템)’ 역시 빠지지 않았다.
이 차의 ADAS는 다른 모델과 비교해 ‘차량(시스템)’이 더 많은 비중을 가진다.
예컨대 차선 이탈 방지 기능 작동 중 핸들 조작시 운전자가 기준인 차량은 저항이 적은데 이 차는 다소 높은 편에 속했다. 이런 성향은 안전을 중시한 볼보, 폴스타 등에서 나타난다.
한편 BYD는 수준 높은 상품성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정상을 차지하고 있다. BYD는 올해 1∼8월 세계 시장에서 두 자릿수 점유율을 기록하면서 1위를 차지했다.
신차 효과 등으로 국내서 한창 인기인 테슬라는 3위. 현대차그룹은 7위를 유지했다.
이런 실적은 단순 가격 때문은 아니다. 차는 가격이 싸다고 구매하는 건 아니기 때문이다. 높은 상품성에 가격 경쟁력이 더해진 결과다.
‘대륙이 실수로 잘 만들었다’ 등 중국차라는 편견을 버려야 하는 대목으로, 일부에서 비아냥 대상이 되는 차가 전 세계를 제패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출시 초기라 이렇다 할 성과는 아직 나오지 않았고 내구성 역시 확인이 어렵지만 추후 이런 불안요소가 사라진다면 ‘가성비차’로 큰 인기를 얻을 거로 보인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가난의 대물림](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8/128/20251028518076.jpg
)
![[데스크의 눈] 설국열차와 부동산 시장](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8/128/20251028518087.jpg
)
![[오늘의 시선] 한국외교에 경종 울린 ‘캄보디아 사태’](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8/128/20251028518057.jpg
)
![[안보윤의어느날] 서툰 말 서툰 마음](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8/128/20251028517991.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