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경기도 공공어린이재활병원에서 집중재활치료 등 의료서비스를 제공받은 장애아동이 4만4000명이 넘은 것으로 집계됐다.
19일 경기도에 따르면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내에 마련된 공공어린이재활병원은 수도권 최초로 지정된 어린이 재활의료기관이다. 고위험군 아동과 중증 장애아동에게 필수적인 집중재활치료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아동과 가족이 거주지에서 단절 없는 재활치료를 받을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코로나19가 유행 중이던 2021년 임시 운영을 시작으로 2022년 51병상을 갖추고 본격 운영에 돌입했다. 올해 상반기까지 누적 15만7000여건의 진료를 제공했다.
지난해에는 4만4000여명을 진료하며 기존 대비 2배 이상의 재활의료를 실시했다. 특히 낮병동과 외래 비율이 높은 어린이 재활 특성에 맞춘 운영 전략으로 권역 내 환자 유치율 77.9%를 기록했다.
병원은 로봇보행치료, 수중재활치료, 호흡재활, 전산화 인지치료 등 전문적인 재활 프로그램을 제공해왔다. 로봇보행치료는 2021년 401건에서 2024년 3167건으로 8배 가까이 증가했다. 전국 최초로 병원학교 유치부를 위탁운영, 아동들이 학습과 치료를 병행할 수 있도록 했다.
병원 측은 앞으로 급성기 재활치료뿐 아니라 생애주기별 정기 평가를 기반으로 학령기, 청소년기까지 연속적인 관리와 조기 개입을 통해 2차 장애와 합병증을 예방하는 체계를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경기도 관계자는 “올해 보건복지부 경기권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재지정을 통해 어린이재활모델이 전국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