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 만에 열리는 대구시 국정감사에서는 홍준표 전 시장이 밀어붙인 각종 정책과 사업이 도마에 오를 전망이다.
민선 8기 홍준표 대구 시정에 대한 거침없는 질의가 쏟아질 거라는 예상이 나오지만, 정작 홍 전 시장이 없어 여야간 맥 빠진 국감이 될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19일 국회와 대구시 등에 따르면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지방2반은 27일 북구 산격청사에서 대구시에 대한 국정감사를 진행한다.
재원 조달 문제로 표류 중인 대구경북통합신공항 건설을 비롯해 취수원 이전과 대구경북 행정통합, 북구 노곡동 침수 사고 등이 주요 쟁점이 될 전망이다. 시는 2030년까지 군위군 소보면·경북 의성군 비안면 일대에 신공항을 건설하기로 한 가운데 11조5000여억 원이라는 막대한 사업비 조달 방안을 마련하지 못해 애를 먹고 있다. 그동안 추진한 기부대양여 방식 대신 국가재정 사업으로 해결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최근 지역 정치권에서도 나온다.
박정희 전 대통령 동상 등 홍 전 시장이 추진했지만 찬반이 잇따른 각종 정책·사업과 측근 채용 비리 의혹 등에 대한 집중 질의도 예상된다. 대구 취수원을 안동댐으로 이전하기로 한 사업도 거론될 가능성이 높다.
대구 취수원 이전 사업은 2022년 대구시와 구미시가 구미 해평취수장을 공동 이용하기로 협정했지만 용도 폐기됨에 따라 시는 안동댐에 대구 취수원을 이전하는 사업을 추진해왔다.
이밖에 신공항처럼 기부대양여 방식으로 추진 중인 도심 군부대 이전 사업도 자금 조달이 순탄할지 우려가 나오고 있다.
이번 국정감사와 관련해 김정기 대구시장 권한대행 부시장은 “시민의 눈높이를 맞추고 위원들의 질의를 통해 대구시 정책을 적극적으로 알리는 기회”라면서 “합리적인 지적은 수용하고 사실과 다른 부분은 시민들게 적극 알릴 수 있도록 대비하라”고 강조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