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이러니 집을 어떻게 사”… 규제 전 마지막 불꽃, 서울 집값 또 뛰었다

입력 : 2025-10-16 14:35:59 수정 : 2025-10-16 14:35:59
양다훈 기자 yangbs@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서울 0.54%↑, 수도권 0.25%↑… 성동·광진·마포·용산 ‘1%대 급등’
지방은 보합… 전세시장도 수도권 중심 상승세 이어져
추석 연휴 이후 ‘한강벨트’를 중심으로 서울 아파트값이 1%대 상승하며 규제 전 마지막 불꽃을 지폈다. 뉴스1

 

정부가 서울 전역을 다시 규제지역으로 묶기 직전, 아파트값이 ‘마지막 급등’을 기록했다. 추석 연휴 전후로 매수세가 몰리면서 서울 아파트값이 2주 만에 0.54% 뛰었다. 한강벨트로 불리는 성동·광진·마포 등 도심 인기 지역과 재건축 단지가 밀집한 송파구가 나란히 1%대 상승률을 기록하며, 서울발 상승세가 수도권 전역으로 확산됐다.

 

16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2025년 10월 2주(13일 기준)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9월 5주 대비 2주간 누계로 0.13% 상승했다.

 

수도권이 0.25%, 서울이 0.54% 오르며 상승 폭을 키운 반면, 지방은 0.00%로 보합을 유지했다

 

서울은 재건축 기대감과 정주여건이 좋은 단지를 중심으로 매수 문의가 늘며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강북 14개구 가운데 성동구(1.63%), 광진구(1.49%), 마포구(1.29%), 용산구(0.80%) 등이 오름세를 주도했다.

 

행당·하왕십리, 광장·자양, 공덕·성산, 이촌·문배동 등 역세권 대단지들이 중심이었다.

 

강남권에서도 상승세는 이어졌다.

 

송파구(1.09%), 양천구(1.08%), 강동구(0.85%), 영등포구(0.63%) 등이 오르며 ‘동남권-서남권 동반 상승’ 흐름을 보였다.

 

가락·문정, 목·신정, 고덕·명일, 신길·영등포동 일대 재건축 및 중소형 단지의 매수세가 활발했다.

 

경기도에서는 성남 분당구(1.53%), 과천시(1.16%), 광명시(0.62%)가 상승 폭이 컸다.

 

분당동·정자동 등 정비사업 기대감이 있는 지역을 중심으로 거래가 이뤄졌으며, 과천·광명도 입지 우수 단지 위주로 매수세가 붙었다.

 

반면 이천(-0.12%), 여주(-0.12%) 등 비수도권 지역은 하락했다.

 

지방은 울산(0.13%), 세종(0.07%), 전북(0.07%) 등이 상승했고, 대구(-0.07%), 제주(-0.06%), 전남(-0.05%)은 하락했다.

 

세종은 새롬·도담동 정주여건이 양호한 단지를 중심으로 수요가 늘며 상승 전환했다.

 

서울 시내 한 부동산에 게시된 매물 정보. 뉴시스

 

전세시장도 수도권을 중심으로 오름세가 이어졌다.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은 2주간 0.07% 상승, 서울(0.17%)·경기(0.09%)·인천(0.04%) 모두 상승세를 기록했다.

 

서울은 대단지·역세권 등 선호 단지 중심으로 매물이 줄며 전세가격이 올랐고, 송파구(0.46%), 서초구(0.32%), 강동구(0.28%), 양천구(0.17%)가 눈에 띄었다.

 

한국부동산원 관계자는 “추석 연휴 이후 매수 심리가 다시 살아나며 서울 주요 지역 중심의 상승세가 강화됐다”며 “특히 재건축 추진 단지나 역세권 대단지의 수요가 견조하게 유지되고 있다”고 밝혔다.

 


오피니언

포토

송해나 '심쿵'
  • 송해나 '심쿵'
  • 투어스 신유 '부드러운 미소'
  • '컴백 D-1' 화사
  • 정소민 '상큼 발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