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자도 26만명이나 증가
115세도 구직 ‘역대 최고령’
“양질의 일자리 제공 힘써야”
초고령화 시대 속 노인 빈곤 문제가 심각한 가운데 일하고 싶은 노인들이 늘면서 노인일자리 대기자가 20만명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일자리 ‘양’을 늘림과 동시에 ‘질’ 향상에도 힘써야 한다는 지적이다.

15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남인순 의원이 한국노인인력개발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간 노인일자리 현황’ 자료에 따르면 올해 8월 기준 노인일자리 대기자는 22만8543명으로 집계됐다.
노인일자리 대기자는 2020년 8만6046명, 2021년 11만4267명, 2022년 11만1222명, 2023년 10만2377명, 2024년 12만5712명으로 꾸준히 늘어난 데 이어 올해는 지난해 대비 2배 가까이 급증했다. 노인일자리 참여자도 2020년 73만7708명에서 올해 99만7233명으로 늘어났지만, 노인 인구가 급증하면서 신청자가 더 빠르게 늘어난 것이다. 노인일자리 신청자는 2020년 82만3754명에서 올해 122만5776명으로 40만명(48.8%) 증가했다.
노인일자리는 공익활동, 역량활용, 공동체사업단 등으로 나뉜다.
유형별 참여자 평균 연령을 살펴보면 각각 77.4세, 70.8세, 71.4세로 조사됐다. 최고령 참여자는 공익활동 일자리에 참여하는 115세로, 역대 노인일자리 최고령자다. 50대 A씨는 “올해 어머니가 노인일자리를 신청했지만, 경쟁이 치열한 탓에 대기자가 됐다”며 “자녀들이 금전적으로 돕는 게 한계가 있어 막막하다”고 전했다.

노인일자리 사업은 일을 통해 노인들에게 소득을 제공하고, 우울감을 줄여준다는 차원에서 정책 효용성을 높여야 하는 게 과제다.
올해 소득수준이 기준중위소득 50% 이하인 상대적 노인빈곤율은 39.8%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최고 수준의 빈곤율을 보였다. 노인자살률도 10만명당 40.6명으로 여전히 높다.
정부는 우선 예산을 확대해 노인일자리를 늘리겠다는 계획이다.
2004년 2.5만개로 시작했던 노인일자리는 내년 115만개로 늘어날 전망이다. 노인 인구 10% 수준에 달한다. 예산도 2004년 264억원에서 올해 2조1847억원, 내년 2조3851억원으로 늘어난다. 노인일자리 안전사고도 예방하기 위해 올해 고위험 사업단 613개소부터 각 1명씩 안전전담인력을 배치하기로 했다. 한국노인인력개발원에 따르면 지난 5년간(2020~2025년 8월) 노인일자리 안전사고는 1만7618건 발생했다.
서울의 한 노인종합복지관 관장은 “노인일자리에 대한 시니어들의 열망이 크다”며 “양도 중요하지만, 질적으로 좋은 노인일자리를 많이 만들어 노인들이 활기와 보람을 느꼈으면 좋겠다”고 강조했다. 남인순 의원은 “우리나라가 노인 빈곤국 오명을 벗지 못하는 상황에서 노인 일자리 수요가 갈수록 늘고 있는 만큼 충분한 일자리를 제공해 보충적 소득과 사회참여 기회를 확대하고 건강한 노후를 보낼 수 있게 해야 한다”고 밝혔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