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기후부, G20 등 다자 협의체 장관회의 참석…기후∙에너지∙환경 협력 방안 논의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5-10-15 12:50:24 수정 : 2025-10-15 12:50:23
차승윤 기자 chasy99@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기후에너지환경부가 주요 20개국(G20), 아세안+3 및 동아시아 장관회의를 통해 국제 사회와 기후 위기 등 이슈에 대한 협력 방안을 모색한다.

 

기후부는 지난 10일부터 오는 17일까지 남아프리카공화국과 말레이시아에서 연이어 진행 중인 주요 G20 장관회의, 그리고 아세안+3 및 동아시아 장관회의에서 기후위기 대응, 에너지 전환, 에너지 안보 등 국제 현안에 대한 협력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15일 밝혔다.

 

김성환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이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의 기후에너지환경부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뉴시스

기후부는 10일 남아프리카공화국 더반에서 개최된 G20 에너지전환 장관회의, 그리고 오는 16일부터 이틀간 케이프타운에서 열리는 G20 환경∙기후 장관회의를 비롯해 17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개최되는 아세안+3 및 동아시아 에너지 장관회의에 참석해 각국과 협력을 심화할 예정이다.

 

주요 20개국 장관회의의 경우, 남아프리카공화국이 주최한다. 의장국 브라질, 한국과미국, 일본 등 회원국 및 이집트, 스페인 등 초청국과 UN 등 주요 국제기구 고위급 관계자가 참석한다. ‘평등∙연대∙지속가능성’이라는 공통 주제 아래 환경∙기후, 에너지 등 분야별로 진행된다.

 

앞서 열렸던 G20 에너지전환 장관회의에서는 △에너지안보, △에너지 경제성 확보, △취약계층의 에너지 접근성 개선, △공정하고 포괄적인 에너지 전환, △청정기술 기반의 지속 가능한 산업화, △지역 전력 통합 등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이를 위한 행동계획, 자발적 원칙, 정책지침 도구 등이 마련됐다.

 

특히 이번 회의에서는 아프리카 및 개도국 역내 에너지 불평등과 도전과제 해결을 위한 안정적∙경제적이고 신뢰∙지속 가능한 에너지 시스템 추진 방안이 논의됐다. 우리 정부는 오는 27일부터 11월 1일까지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 태평양 경제협력체(APEC)’ 의장국으로서 우리나라 재생에너지 중심의 대전환 및 에너지고속도로 정책 계획을 소개했다. 이어 탄소중립 산업 육성 등을 통한 탈탄소 녹색 대전환 의지도 표명했다.

 

이어서 열리는 G20 환경∙기후 지속가능성 장관회의에서는 △생물다양성, △토지황폐화, △기후변화, △화학물질 및 폐기물 관리, △대기질, △해양 등 6개 우선 분야를 중심으로 전 세계적인 환경 현안과 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한다.

 

우리나라는 폐기물 문제 해결을 위한 국가간 협력을 촉구하는 제7차 유엔환경총회 결의안에 대한 지지를 요청할 예정이다. 기후부는 “지난해 11월 부산에서 열린 유엔 플라스틱 협약 제5차 정부간 협상위원회에서 보여준 국제적 위상, 그리고 6월 세계 환경의 날 기념행사를 통해 강조한 ‘플라스틱 오염 종식’ 의지를 바탕으로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기후부는 올해 10월 새롭게 출범한 만큼 기후 변화, 에너지, 환경을 아우르는 통합 정책을 추진해 국제사회 기후위기 대응에 적극 동참하겠다는 입장도 밝힐 계획이다.

 

한편 17일 개최되는 아세안+3 및 동아시아 에너지장관회의에서는 지속가능한 번영을 위해 △아세안 및 동아시아 역내의 에너지 연계성, △에너지 회복력을 강조하며, △에너지안보, △재생에너지 전환 및 에너지 효율화, △청정에너지 관련 협력 방안을 진전시키기 위해 논의한다.

 

회원국들은 에너지 안보, 탈탄소화, 포용적 전환의 동시 추진에 공감대를 형성하고 한·중·일의 기술 및 정책 협력 확대로 아세안 역내 에너지 회복력 및 지속가능성을 제고할 예정이다. 특히 해저 케이블 및 전력망 등을 활용한 전력망 기반시설 구축 계획의 필요성을 논의한다.

 

기후부는 연속해 열리는 4개 국제회의를 통해 새 정부 출범 이후 기후에너지 및 환경 분야 통합부처로서의 정책 방향을 국제사회에 공유하고, 기후위기 대응과 지속가능한 에너지·환경정책 추진을 위한 국제사회의 협력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했다. 정은해 기후에너지환경부 국제협력관은 “앞으로도 G20, 아세안+3 등 주요 다자협의체에 적극 참여해 우리나라가 지속가능한 미래를 향한 실행 국가이자 책임 있는 국제사회의 일원으로서 전 세계 탈탄소 녹색문명 전환을 선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오피니언

포토

정소민 '상큼 발랄'
  • 정소민 '상큼 발랄'
  • 아이유 '눈부신 미모'
  • 수지 '매력적인 눈빛'
  • 아일릿 원희 '반가운 손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