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초 ‘도심형 국립공원’ 모델을 목표로 하는 부산 금정산의 국립공원 지정에 힘이 실리고 있다. 주무부서인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이 현장 점검을 위해 직접 금정산을 찾는다.

15일 부산시에 따르면 이날 오전 10시 김성환 기후부 장관이 금정산을 방문해 국립공원공단으로부터 금정산의 자연 생태계와 경관자원, 문화자원 현황을 보고받고, 관계 기관 및 지역 시민단체와 향후 금정산의 생물다양성 증진과 지역 상생 방안 등을 논의한다. 김 장관은 금정산 방문에 이어, 인근 양산시 호포마을과 부산 범어사를 찾아 국립공원 지정에 대한 주민 의견을 청취할 계획이다.
금정산은 낙동정맥을 따라 형성된 국가 주요 생태 축으로, 천혜의 자연경관과 풍부한 생태·문화자원을 두루 갖춘 부산을 대표하는 명산이다. 2020년~2021년 실시된 국립공원 지정 타당성 조사 결과, 금정산에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13종을 포함한 1782종의 야생생물이 서식하고 있고, 자연경관 71곳과 문화유산 127점을 보유하는 등 생태·경관·문화적 가치가 매우 높은 것으로 평가됐다.
금정산국립공원 지정은 2005년 시민 여론이 형성된 이후, 타당성 조사를 거쳐 2019년 6월 환경부에 공식 건의하면서 본격 추진 중이다. 지난해 11월부터 주민공람 절차에 착수해 주민설명회·공청회·지자체장 의견 청취·관계부처 협의절차를 이행하고, 중앙산지관리위원회와 중앙도시계획위원회 심의를 잇달아 통과했다. 최종 단계인 국립공원위원회 심의를 남겨두고 있다. 국립공원위원회 심의를 통과하면 금정산의 국립공원 지정 절차가 모두 완료된다.
박형준 시장은 “장관의 현장 방문을 통해 기후에너지환경부와 협력체계를 더욱 공고히 다져 국립공원위원회 심의 통과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겠다”면서 “시민과 함께하는 지속 가능한 보전·관리 체계를 구축해 금정산을 부산의 새로운 도심형 생태 자산이자, 대한민국 최초의 도심형 국립공원 선도모델로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