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에 필요한 제도 만들어주길”
유명인들을 대상으로 악의적 이슈를 편집해 수익을 올리는 이른바 ‘사이버레커’ 피해를 입은 유튜브 쯔양(본명 박정원)이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같은 피해자가 나오지 않기를 바란다. 꼭 사회에 필요한 제도를 만들어주시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쯔양은 14일 국회 과방위의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 및 소관기관 국정감사에 참고인으로 출석해 사이버레커 문제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이날 국감에서 최형두 국민의힘 의원은 “사이버레커 문제가 매우 심각한 사안인데, 쯔양과 같은 유명인 뿐 아니라 일반 시민이 비슷한 피해를 입었다면 대응이 정말 어려웠을 것”이라고 우려를 표했다. 같은 당 김장겸 의원 또한 “소위 좌표를 찍고 조리돌림해서 수익을 내는 구조 등을 개선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1000만명이 넘는 구독자를 보유한 유튜버 쯔양은 사이버레커 유튜버로 알려진 ‘구제역’ 등에게 협박을 당해 수천만원을 갈취단한 바 있다. 수원지법은 구제역에게 항소심에서 징역 3년을 선고했다.
이같은 사이버레커 문제에 대해 쯔양은 “(협박을 당할) 당시 심정은 정말 아무것도 할 수 없을 만큼 굉장히 두렵고 많이 막막한 상황이었다”며 “솔직히 그들(사이버레커)의 보복이 두려워서 아무것도 대응을 할 수 없었고 소송조차도 할 수도 없었다”고 말했다.
유튜브나 정부 기관 등에 어떤 식으로 도움을 받았느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유튜브나 플랫폼에서는 유튜버가 직접 이용하는 신고 절차를 이용했다. 그렇게 직접 이렇게 유튜브와 소통을 해서 신고 절차를 밟아서 이용을 했었다”며 “사실 영상 확산 속도 등이 굉장히 빠르고 하루만에 수십만명의 사람들의 보기 때문에 쉽지 않았다”고 토로했다.
이어 “영상을 이미 사람들이 보고 나서는 아무리 지워지는 절차가 이뤄지더라도 오해를 풀기가 굉장히 어렵게 된다”며 “보통 짧게는 유튜브의 삭제 조치가 이뤄지기까지 수일이 걸리고, 길게는 아예 지워지지 않았던 영상들도 있다”고 덧붙였다.

또 쯔양은 “일반 시민 분들, 직장인이나 학생 분들 같은 경우에는 굉장히 대응이 어려울 것이라고 생각한다. 생업을 하시면서 (소송 등) 비용을 마련하시기도 어려울 것이고, 피해를 당해서 병원을 다녀가시는 상황일 수도 있다”며 “가장 힘들었던 것은 사실 2차 가해와 사회적 시선이 문제가 아닐까 생각한다. 저도 가해자의 보복에 대한 두려움이 가장 커 가지고 아무것도 할 수가 없었던 적이 있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제가 이 자리에 온 것은 제가 겪은 피해를 바탕으로 같은 피해자가 나오지 않기를 바라면서 나왔다”며 “이 자리에 계신 의원님들과 전문가분들께서 꼭 사회에 필요한 제도를 만들어 주시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또 인터넷에서 누군가에게 글을 남길 때는 상대방도 감정이 있고 똑같이 기쁨과 슬픔을 느끼는 사람이라는 것을 한 번만 꼭 생각해 주시고 댓글이나 글을 남겨 주셨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강조했다.
이같은 설명에 대해 최형두, 김장겸 의원 등은 직접 가해자인 사이버레커 뿐만 아니라 신속한 후속 조치가 미비한 구글, 네이버 등 플랫폼 정책의 개선도 필요하다고 의견을 모았다.
최민희 과방위원장 또한 “용기 있게 나와주신 박정원(쯔양)님 께 감사드린다. 이번 정기국회 내에 관련 입법을 반드시 해내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