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캄보디아에서 한국인이 숨지거나 실종되는 사례가 이어지는 가운데 올해에만 무려 400~500건의 납치 신고가 있었다는 주장이 나왔다.
이재명 대통령은 캄보디아 내 한국인 납치·감금 피해에 대해 “지금은 다른 무엇보다 피해자들을 보호하고 또 사건 연루자들을 국내로 신속하게 송환해야 된다”고 강조했다.
앞선 13일 정명규 캄보디아 한인회 회장은 CBS라디오에 출연해 캄보디아 내 한인을 상대로 한 납치 범죄와 관련해 올해에만 400~500건의 관련 신고가 들어왔다고 밝혔다.
정 회장은 “일주일이면 한 5건에서 한 10건 사이 (납치 신고가) 오는 것 같다”며 “혼자 단독으로 (감금에서) 탈출하는 경우도 있고 두세 명씩 이렇게 무리 지어 도망 나와서 함께 있다가 연락하는 경우도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캄보디아에서 납치 사건이 자주 발생하는 이유를 두고 “여행하기가 쉽고 캄보디아에 코로나 이후에 있었던, 경제가 성장하면서 만들어졌던 공장들이 문 닫은 데가 많이 있는데 (범죄자들이) 그런 곳을 임대한다”며 “해외에서 조직원들을 유입하기에 좋은 환경이었지 않았을까라고 짐작한다”고 말했다.
이어 “미얀마, 베트남, 태국에서도 계속 있는 일이지만, 캄보디아가 이동성이 매우 좋다”며 “들어오는 것도 좋고 비자 등 사람들이 거주하기에 좋기에 유인하기에는 더 좋은 환경”이라고 밝혔다.
장 회장은 캄보디아에서 한국인들이 납치되는 배경 관련해서는 “(납치가 된 뒤 풀려나 한국에) 가면 다시 자기 주변에 있는 친구, 선후배를 데리고 오는 그런 친구들도 있다”며 “그러니까 이게 단순히 광고를 통해서만 된 것이 아니라 갇혀 있던 친구들을 내보내 준다는 조건으로 '새로운 사람들을 유인해 오면 너는 보내줄게' 이런 소리를 듣기도 하고 때로는 유인해서 데리고 오면 거기에 대해서 돈을 지급해 주니 그 돈 때문에도 그렇게 하는 친구들도 있는 것을 봤다”라고 주장했다.
그는 “그래서 구인 광고 내는 사람이 처음에는 대부분 조선족이나 중국 사람들이라고 얘기를 하지만 요즘은 그 중간책을 하는 사람들이 오히려 한국 청년들이나 한국 사람들이 그 중간 보스 역할을 하고 있는 듯하다”고 전했다.
한편캄보디아 내 한국인 납치·감금과 관련 이 대통령은 “관계부처는 캄보디아 정부화 협의를 통해서 양국 치안당국 간 상시적인 공조 체제 구축에 속도를 내주기 바란다”고 말했다.
이날 이 대통령은 용산 대통령실에서 주재한 국무회의에서 이같이 밝히며 “정부는 우리 국민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가용 가능한 방안을 최대한 즉시 실행해주길 바란다”고 했다.
그러면서 “우선 실종신고 확인 작업과 범죄 피해 우려 지역에 대한 여행 제한 강화 등을 서둘러 달라”고 주문하면서 “들리는 얘기에 의하면 현지 교민들이나 국가기관 소속 공무원들이 자기 사비를 털어서 (범죄 피해자를) 지원해주고 있다는 얘기도 있더라”면서 “최소한 예산 문제 때문에 업무에 지장이 생기지 않도록 해주면 좋겠다. 가용 자원을 총동원해 신속하게, 정확하게, 확실하게 대응해주기 바란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