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확기 후 시장 동향 파악 대책 추진
정부가 올해 예상되는 쌀 초과 생산량 16만5000t(톤) 중 10만t을 시장격리하기로 했다. 쌀 수급 안정을 위한 선제적 조치로, 지난해 시장격리한 20만t의 절반 수준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13일 양곡수급안정위원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쌀 수급 안정 대책을 내놨다.

국가데이터처가 이달 2일 발표한 2025년산 쌀 예상 생산량은 지난해보다 1만1000t(0.3%) 감소한 357만4000t이다. 이 중 예상되는 초과 생산량이 16만5000t에 이를 것으로 농식품부는 추산했다.
위원회는 올해 민간 재고 부족으로 이월되는 구곡 물량이 평년보다 적은 데다, 최근 일조량 부족으로 깨씨무늬병 등의 병충해로 쌀 최종 생산량이 예상보다 줄어들 가능성이 있다고 봤다. 이에 초과량 중 10만t을 우선 격리한 뒤, 쌀 최종 생산량과 소비량을 봐가며 상황에 맞는 수급 대책을 추진하기로 했다.
정부가 시장격리 방침을 밝힌 10만t에는 올해 8월 말부터 정부가 산지 유통업체에 대여 방식으로 공급한 5만5000t의 반납 물량이 포함된다.
정부는 지난해 시장 수요 대비 많은 양의 쌀을 시장격리 조치했다가 쌀값 폭등을 불러왔다는 비판을 받았다. 지난해 정부의 쌀 예상 초과 생산량은 12만8000t이었는데 시장격리 물량은 20만t에 달했다. 쌀 20㎏의 평균 소매가격은 이날 기준 6만6972원으로 전년 대비 25.8% 높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