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의 유학생 증가 등 체류 외국인이 늘면서 지역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지 관심이다.
충북도는 체류 외국인 8만명 돌파를 앞두고 있다고 9일 밝혔다. 법무부 통계월보에 따르면 지난 8월 충북 도내 체류 외국인 수는 7만9165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11.4%(8088명) 증가했다. 도내 인구 167만여명 중 외국인 비중은 4.7%다. 이는 전국 평균 3.9%를 웃돌았고 충남(6.16%) 경기(5.02%)에 이어 세 번째로 높다.

음성군은 전체 인구 대비 체류 외국인 비중이 16.63%(1만8511명)로 도내에서 가장 높았다. 이어 진천군이 12.44%(1만2192명)로 두 번째를 차지했다. 도는 산업구조와 외국인 유입이 밀접하게 연관된 것으로 분석했다.
국적별로는 한국계 중국인(18.02%), 베트남(14.58%), 우즈베키스탄(9.1%) 순이다. 체류 자격은 E-9(비전문취업, 26.13%), F-4(재외동포, 20.49%), D-2/D-4(유학생, 12.21%)가 주를 이뤘다.
특히 최근 3년간 E-7(전문·숙련인력) 324%, F-3(가족 동반) 비자 233.4%로 급증했다. 이는 장기 정착인 정주형 이민이 늘어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외국인 인구 구조 변화도 나타났다. 연령대별로 20~30대가 58.2%(4만6075명)로 청년층 비중이 가장 높았기 때문이다.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를 보면 지난달 도내에는 1만537명의 외국인 유학생이 재학 중이다. 이는 전년 대비 92.1%(5053명)가 증가한 것으로 전국 지자체 중 증가율이 가장 높다. 이에 경제 활력 등 새로운 지역의 동력으로 기대를 모은다.
도는 K-유학생 유치 등에 힘을 쏟았다. 도내 대학에 유학생 유치는 물론 국내 정착을 지원했다. 외국인 인재 채용박람회와 유학생 취업박람회, 등으로 취업을 돕고 광역 비자로 유학길을 열었다. 외국인 유학생의 학업 중 근로 기회 제공 기반 마련에 이어 후견인 제도인 ‘K-가디언즈’ 등 유학생 정주 등을 도왔다.
도는 올해부터 라이즈(RISE) 사업과 연계해 유치에 박차를 가한다. 도내 취업 희망 외국인 유학생을 중심으로 청년 우수 인재와 지역기업을 연계한다. 인구감소지역 지역특화형비자 추천 제도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등 외국인 우수 인재 유입과 정착에 중점을 두고 추진할 계획이다.
충북도 관계자는 “충북은 K-유학생 1만명 달성, 광역형 비자 시범사업 등 외국인 정책을 선도하고 있다”며 “외국인과 함께 성장하는 개방형 지역사회로 나갈 수 있게 자립 기반과 안정적 정착 환경 조성에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