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서울대 10개’ 논의 본격화…거점국립대, 특성화 연구대학으로 [정책돋보기]

입력 : 2025-09-30 18:52:04 수정 : 2025-09-30 19:18:18
세종=김유나 기자 yoo@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교육부, 지방대 9곳 육성안 공개
학부 교육 혁신… 맞춤 인재 양성
인건비·정년 등 규제 특례 부여도

교육부가 이재명정부의 국정과제인 ‘서울대 10개 만들기’ 정책 추진을 위해 대학들과 본격적인 논의에 나섰다. 

 

교육부는 서울 포시즌스 호텔에서 지방 거점국립대 총장 간담회를 열고 ‘국가균형성장을 위한 지방대학 육성방향(안)’에 대해 논의했다고 30일 밝혔다.

 

최교진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30일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 호텔에서 열린 '국가균형성장을 위한 지방대학 육성 거점국립대 총장 간담회'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뉴스1

서울대 10개 만들기는 이재명정부의 교육 분야 6대 국정과제 중 하나로, 비수도권의 거점국립대 9곳(강원대·경상국립대·경북대·부산대·전남대·전북대·제주대·충남대·충북대)을 키워 대학 서열화, 지역 쏠림 문제 등을 해결하고 국가균형성장을 달성한다는 것이 골자다.

 

교육부는 거점국립대 9곳을 ‘우수학생이 가고 싶고, 기업이 선호하는 대학’으로 만든다는 목표다. 우선 9개 대학에 인공지능(AI) 등 기초역량 교육, 해외 교육, 취업과 연결되는 기업 현장 교육 등을 늘리고, 이들이 정부의 ‘5극 3특’(초광역권 5곳·3개 특별자치도) 전략산업과 연계된 ‘특성화 연구대학’이 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거점국립대학의 학부·대학원·연구소를 하나로 묶어 지원하고, 인근 기업·출연연·과기원·다른 대학 등과 협력해 지역 성장을 이끌 핵심 인재를 양성한다는 방침이다. 또 대학·기업이 공동 운영하는 취업 보장형 계약학과를 늘리고, 공공기관의 지역인재 채용을 확대해 거점국립대가 길러낸 인재가 지역에 정주할 수 있도록 한다. 

 

교육부는 현재 연간 2500만원 수준인 거점국립대 학생 1인당 교육비를 서울대 수준(6300만원)까지 늘리기 위해 2030년까지 총 4조원 이상을 추가 투자한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우수 교원 유치를 위해 연구비와 지역 정주 지원체계를 마련하고, 인건비·채용 절차·정년 등과 관련해 규제 특례를 부여한다.

 

교육부는 이번에 공개한 방향을 토대로 12월 중 ‘국가균형성장을 위한 지방대학 육성방안’을 발표하고,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관련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최교진 교육부 장관은 “거점국립대가 지역 성장의 중심으로 혁신할 수 있도록 관계부처와 협력해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오피니언

포토

아이유 '눈부신 미모'
  • 아이유 '눈부신 미모'
  • 수지 '매력적인 눈빛'
  • 아일릿 원희 '반가운 손인사'
  • 미야오 엘라 '시크한 손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