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경찰 “국정자원 화재 당일 작업자 비전문가 없어”… 배터리 열폭주 원인 집중 수사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5-09-30 16:43:42 수정 : 2025-10-01 13:07:53
대전=강은선 기자 groove@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경찰은 불이 난 리튬이온 배터리 열폭주 원인이 작업 중 과실 문제인지, 배터리 노후화로 인한 자체 문제인지 화재 원인 규명에 수사력을 모으고 있다. 

 

30일 경찰에 따르면 지난 26일 화재 당일 작업자들은 “전원을 차단하고 작업했다”고 진술했다. 경찰은 배터리 이전을 위한 분리작업 전 관련 전원은 차단한 것으로 보고 있다. 

 

30일 오전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 현장에서 감식 관계자들이 불이 붙었던 무정전·전원 장치(UPS)용 리튬이온배터리의 안정화 작업을 마치고 옮기고 있다. 연합뉴스 

김재춘 대전청 강력계장은 “작업자들이 무정전 전원장치(UPS) 배터리를 분리하기 위해 관련 전원을 차단하고 작업을 시작한 건 맞다”면서 “시간대별 작업 과정은 조사 중”이라고 말했다. 

 

경찰은 현재까지 관계자 조사 결과 ‘비전문가’는 없다고 했다.  당시 UPS 배터리 및 배터리 재배치 전기공사 작업엔 조달청 입찰로 들어온 대전지역 업체 1곳과 경기지역 업체 1곳 등 3개 업체 소속 8명이 투입됐다. 

 

김 계장은 “작업자와 관계자 조사 결과 전기 작업을 한 작업자는 모두 관련 자격증이 있었고, 배터리 작업자도 현재까지 특이사항은 없다”며 “다만 자격증이 없어도 되는 작업이 있는데 이 부분은 계속 조사 중”이라고 말했다. 경찰은 전기기사 등 자격증 소지 여부를 비롯, 관련 작업 경력 등도 조사 중이다.  

 

업계 일부에서는 배터리 자체의 문제가 아닌, 작업 중 작업자의 실수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배터리 전원을 차단한 뒤 전선을 빼는 작업을 해야 하는데, 전원을 차단하지 않고 전선을 뺐다가 전기 단락(쇼트)이 생긴 것 아니냐는 주장이다. 

 

경찰은 지난 27일부터 화재 당시 전산실 작업자와 관계자 등 12명을 조사했다. 

 

경찰은 이날 4차 현장 정밀감식에서 화재가 난 5층 전산실을 3D스캐너로 입체 촬영하는 등 현장을 면밀히 살폈다. 안정화 작업 중이었던 나머지 배터리 3개도 잔류전기가 확인되지 않아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보냈다. 


오피니언

포토

아이유 '눈부신 미모'
  • 아이유 '눈부신 미모'
  • 수지 '매력적인 눈빛'
  • 아일릿 원희 '반가운 손인사'
  • 미야오 엘라 '시크한 손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