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국회 예정처, 2025년 경제성장률 1.0% 하향 조정…내년 1.9% 전망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5-09-30 15:09:37 수정 : 2025-09-30 15:09:36
변세현 기자 3hyun@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국회 예산정책처가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0%로 예측했다. 지난 3월 전망치를 1.5%로 하향 조정한 데 이어 재차 전망치를 낮춘 것이다. 내년 경제성장률은 1.9%로 회복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국회 예산정책처는 30일 발표한 ‘2026년 NABO 경제전망’ 보고서에서 올해 실질 국내총생산(GDP) 전망치를 지난 3월(1.5%)보다 0.5%포인트 낮춘 1.0%로 제시했다. 보고서는 “예상보다 크게 부진한 건설투자와 민간소비 회복 지연을 반영했다”고 설명했다. 

 

관광객들로 북적이는 서울 명동 거리. 연합뉴스

내년 경제성장률은 1.9%를 기록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올해와 내년 모두 정부, 한국은행 등 다른 기관 전망치(2025년 0.8∼0.9%, 2026년 1.6∼1.8%)보다 소폭 높은 수치다. 

 

보고서는 “실질소득 여건이 개선되는 가운데, 재정확대와 완화적 금융기조 등 정책적인 뒷받침이 가세하면서 내수가 민간소비를 중심으로 회복될 것”이라면서도 “건설투자는 부진이 지속되고 설비투자는 증가세가 약화됐다”고 짚었다.

 

보고서는 내년 제조업 성장률이 1.5%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인공지능(AI) 산업이 성장하며 반도체 수출을 견인하지만, 자동차와 철강은 미국 관세 정책의 영향으로 성장세가 둔화할 것이라는 설명이다.

 

건설업은 올해 -7.2%를 기록한 후 내년 0.6%로 회복할 것이라고 봤다. 보고서는 “추가경정예산의 건설경기 활성화 예산과 사회간접자본(SOC) 예산 확대 및 기저효과로 성장할 것”이라며 “(건설업의) 본격적인 회복은 2027년 이후 시작될 전망”이라고 짚었다.

 

경기 하방 위험 요인으로는 미국의 관세·이민 정책과 중국의 저가공세 강화, 금융시장 불안으로 인한 기업 자금조달 여건 악화 등을 짚었다. 보고서는 “세계교역에 대한 미 관세정책으로 부정적 영향이 확산되고 있다”며 “중기적으로는 미·중 무역갈등, 중국과의 경쟁격화 등으로 수출 증가율이 점차 둔화될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향후 5년간 한국의 잠재성장률(노동과 자본을 최대로 활용했을 때 달성가능한 성장률)은 1.8%를 기록할 것이라 봤다. 최근 5년치(2020∼2024년)보다 0.3%포인트 감소한 수치다.

 

예산정책처는 “경제 성숙도가 높아지면서 노동투입과 자본축적에서만 성장 동력을 찾기는 어려워진 상황”이라며 “AI 등 신산업과 연구개발(R&D)에 대한 기업 투자 여건을 개선하고, 세제와 금융 등 다각도에서 지원할 수 있는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오피니언

포토

아이유 '눈부신 미모'
  • 아이유 '눈부신 미모'
  • 수지 '매력적인 눈빛'
  • 아일릿 원희 '반가운 손인사'
  • 미야오 엘라 '시크한 손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