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트럼프 행정부, ‘미운털’ 레이 전 FBI 국장 수사 본격화… “요원 동원해 1.6 의회 폭동 선동”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5-09-30 01:40:07 수정 : 2025-09-30 01:40:06
서필웅 기자 seoseo@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2021년 ‘1·6 의회 폭동’ 당시 연방수사국(FBI)을 이끌었던 크리스토퍼 레이 전 국장에 대한 수사가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행정부가 제임스 코미 전 연방수사국(FBI) 국장에 이어 또 한명의 FBI 전직 수장을 겨냥하고 나선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28일(현지시간) 미국 NBC 방송과 인터뷰에서 레이 전 국장에 대해 “그가 한 일은 매우 부적절한 것이었다. 우리는 그 모든 FBI 요원이 그곳에 있었다는 사실을 이제 막 알게 됐다”면서 “법무부가 관련해 수사 중일 것”이라고 밝혔다.

 

1·6 의회 폭동은 2020년 대선 결과에 불복한 트럼프의 극렬 지지층이 주도한 의사당 난입 사건을 말한다. 트럼프 대통령은 FBI가 당시 의사당에 모인 군중 속에 요원들을 은밀히 배치해 군중을 선동하는 역할을 했다는 의구심을 제기하고 있다. 그는 지난 27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인 트루스소셜에 “FBI가 모든 규칙, 규정, 절차, 기준을 위반하고 1월6일 사기극(Hoax) 직전과 그 도중에 군중 속에 FBI 요원 274명을 배치한 것이 방금 드러났다”며 “FBI 요원들은 아마도 선동가와 반란자로 활동했을 것이며, 결코 ‘법 집행관'으로서는 아니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해당 게시물은 보수 성향 매체인 ‘블레이즈 미디어’가 “FBI가 평상복을 입은 요원 274명을 1월6일 군중 속에 심어놨다”고 의회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한 것을 재인용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FBI는 의회 폭동 당시 잠복 요원을 은밀히 배치해 선동 역할을 했다는 의혹에 대해 “그런 주장은 거짓”이라면서 법무부 감사관이 폭동 당시 잠복 요원이 있었다는 증거가 없다고 항변 중이다.

 

이와 관련해 미국 뉴욕타임스(NYT)는 “트럼프 대통령은 수년간 자신과 지지자들을 조사한 사람들에 대한 수사를 요구하고, 의회난입 당시 경찰을 잔혹하게 공격해 징역형을 살았던 사람을 비롯해 모든 관련자를 사면하는 등 1월6일 의사당 폭동 사건의 역사를 다시 쓰려고 노력해왔다”고 보도했다.

 

최근에는 제임스 코미 전 FBI 국장이 연방검찰에 의해 기소된바 있다. 코미 전 국장은 2016년 미 대선 당시 트럼프를 당선시킬 목적으로 러시아가 개입했다는 의혹 수사를 맡았다가 트럼프와 오랜 갈등을 빚은 인물로 연방검찰은 트럼프 대통령의 지시로 애초의 불기소 방침을 뒤집고 지난 25일 코미 전 국장을 의회에서의 허위 진술과 의회 절차 방해 혐의로 기소했다. 이어 코미의 후임자인 레이 전 국장에 대한 수사까지 본격화돼 기소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레이 전 국장 역시 재임 중 FBI가 트럼프 대통령의 집권 1기후 기밀자료 불법 반출 혐의사건과 관련해 플로리다주의 트럼프 저택 마러라고를 압수수색한 일로 트럼프 대통령의 눈밖에 난 것으로 여겨져 왔다. 


오피니언

포토

수지 '매력적인 눈빛'
  • 수지 '매력적인 눈빛'
  • 아일릿 원희 '반가운 손인사'
  • 미야오 엘라 '시크한 손하트'
  • 박규영 '사랑스러운 볼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