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경찰, 국정자원 화재 현장 작업자 8명 조사…전원 차단 여부 분석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5-09-29 17:03:31 수정 : 2025-09-29 22:20:11
대전=강은선 기자 groove@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정부 전산망 마비를 불러온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 원인을 조사하는 경찰이 현장 작업자에 대한 참고인 조사에 들어갔다. 

 

29일 대전경찰청에 따르면 경찰은 화재 발생 이틀째인 지난 27일부터 화재 당시 전산실에서 작업했던 8명을 조사했다. 7명은 경찰청으로 소환해 조사했으며 1명은 유선으로 구두 조사했다.

 

29일 오전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 현장에서 경찰 관계자들이 불이 붙었던 무정전·전원 장치(UPS)용 리튬이온배터리 상태를 확인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들은 대전 본원 ‘무정전 전원장치’(UPS) 배터리 및 배터리 재배치 전기공사를 했던 업체 관계자들이다. 당일 작업은 대전지역 업체 1곳과 경기 남양주 업체 1곳 소속 직원들이 작업한 것으로 확인됐다. 대전업체는 대화산업단지 내 입주한 전기·전자·반도체업체로 대전지방조달청을 통해 해당 사업을 수주해왔다. 화재로 다친 40대 작업자는 대전업체 소속으로 확인됐으며 회복되는 대로 조사할 방침이다. 

 

행정안전부는 이날 브리핑에서 화재 당시 작업 인력이 8명이라고 발표했으나 경찰은 관계자 진술과 건물 및 작업실 폐쇄회로(CC)TV 영상 분석 등을 통해 추가 인력 여부를 확인하고 있다. 현재까지 형사 입건된 관계자는 없다.  

 

김용일 대전청 전담수사팀장(형사과장)은 “당일 작업자들이 한 곳에 계속 머문 게 아니라 왔다갔다했기 때문에 중복된 인원이나 혹은 추가로 투입된 인력이 있는 지 계속 확인하고 있다”고 말했다. 전기·배터리분야 비전문가가 투입됐다는 언론 보도와 관련 “현재까지 확인한 바 비전문가는 없다”며 “근로계약 관계 등을 확인하고 있다”고 말했다. 

 

화재원인 규명에는 다소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경찰은 발화지점을 비추는 CCTV 화면은 없다고 했다. 경찰 관계자는 “CCTV에는 불이 나기 전후의 전반적인 영상이 담겨 있으나 정확히 불이 난 곳을 비추는 화면은 없다”고 말했다. 정확한 발화 지점과 원인은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등의 정밀 감식으로 규명할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당시 작업이 배터리 전원을 끄고 이뤄졌는지에 대해서도 배터리가 불에 녹아 맨눈으로는 확인할 수 없어 감식이 필요한 상황이다. 작업자들은 “전원을 끄고 작업했다”고 진술했다. 경찰은 국정자원에서 배터리 등 사업 관련 자료를 임의 제출받아 분석하고 있다.

 

경찰은 이날 오전 추가 정밀 감식에 나섰다. 초진이 선언된 지난 27일부터 사흘째 이어진 현장감식으로 발화 의심 지점을 살폈다. 최초 발화한 것으로 의심되는 배터리 6개에 중 3개를 국과수로 보내 정밀 감식을 의뢰했다. 나머지 3개는 현재까지 안정화 작업 중이다.  

 

앞서 현장에서 확보한 공구 등은 감식이 진행 중이다. 경찰은 30일에도 화재 현장에서 4차 감식을 이어갈 예정이다. 

 

이날 취임한 최주원 대전경찰청장은 “전문가들의 검증을 거쳐 국민이 수긍할 수 있는 결과를 내도록 철저히 수사하겠다”며 “이런 사고가 다시 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수사의) 목적으로 국민 피해를 최소화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오피니언

포토

수지 '매력적인 눈빛'
  • 수지 '매력적인 눈빛'
  • 아일릿 원희 '반가운 손인사'
  • 미야오 엘라 '시크한 손하트'
  • 박규영 '사랑스러운 볼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