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다시 고개 든 화재 위험성… 정부 ESS 확대 계획 ‘찬물’ [국가전산망 마비 사태]

입력 : 2025-09-28 18:27:30 수정 : 2025-09-28 21:17:27
최우석 기자, 대전=강은선 기자

인쇄 메일 url 공유 - +

산업부, 2029년까지 대규모 확대
대부분 리튬이온배터리 사용돼
안전 의문 부각 주민 수용 불투명

최근 5년 관련 화재 2400건 넘어
7명 사망… 재산피해 1343억 달해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대전 본원 전산실에서 발생한 화재는 에너지저장장치(ESS) 확대 계획을 세운 산업통상자원부에도 적지 않은 과제를 안길 전망이다. 산업부가 2029년까지 대규모로 확대하겠다고 발표한 ESS에 이번 화재로 지목된 리튬이온 배터리가 사용되기 때문이다.

28일 국회 행정안전위 위원들이 화재가 발생한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을 찾아 외부 침수조에 냉각작업 중인 리튬이온 배터리를 살펴보고 있다. 뉴시스

28일 산업부에 따르면 정부는 제11차 전력기본수급계획(전기본)을 통해 ‘초대용량 배터리’인 ESS를 2029년까지 2.22GW(기가와트) 규모로 설치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2038년까지 약 23GW 규모 장주기 ESS가 필요하다고 판단해서다.

 

재생에너지 확대를 추진 중인 정부는 변덕스러운 날씨에 따른 재생에너지 단점을 이를 통해 극복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이에 따라 ESS 설치 속도가 빨라질 전망이었다.

 

그런데 이번 화재로 인해 리튬이온 배터리 안전성이 문제로 부각되면서 향후 사업 추진에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재생에너지 사업에 참여하는 주민들의 반대 목소리도 커질 수 있다. 태양광과 풍력 등 재생에너지 사업은 설비 설치·운영 과정에서 빛 반사, 저주파 소음, 그늘짐(음영), 토양·수질 오염, 철새 등의 서식지와 경관 훼손으로 주민들이 반대하는 경우가 많은데, 재생에너지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 중인 ESS의 화재 위험성까지 추가된 것이다.

 

실제로 리튬이온 배터리 관련 화재는 증가 추세다. 최근 5년간 전국에서 발생한 리튬이온 배터리 관련 화재가 2400건을 넘고 재산피해만 1343억원에 달했다. 더불어민주당 박정현 의원실이 소방청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1년부터 올해 6월까지 2439건의 배터리 화재가 발생해 7명이 사망하고 125명이 다쳤다. 같은 기간 재산피해는 1343억6591만원에 달했다.

연도별로는 △2021년 319건(부상 11명) △2022년 345건(부상 20명) △2023년 359건(사망 1명·부상 17명) △2024년 543건(사망 3명·부상 35명) △2025년 상반기 300건(사망 2명·부상 21명)이다. 해마다 증가세인데 올해는 상반기에만 300건이 넘었다. 지역별로는 경기가 769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전남(180건), 서울(179건), 인천(105건) 등이다.

 

원인은 전기적 요인이 1361건(부상 59명)으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이어 화학적 요인(261건·부상 24명), 기계적 요인(308건·부상 9명) 순이다. 이 밖에 부주의(163건), 교통사고(117건), 제품결함(35건) 등도 확인됐다.

 

원인을 특정하지 못한 ‘원인 미상’은 123건이었는데, 이로 인한 피해액만 716억원으로 전체 피해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오피니언

포토

수지 '매력적인 눈빛'
  • 수지 '매력적인 눈빛'
  • 아일릿 원희 '반가운 손인사'
  • 미야오 엘라 '시크한 손하트'
  • 박규영 '사랑스러운 볼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