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WSJ “러트닉 상무장관, 한국의 대미투자 3500억달러에서 일본 수준으로 늘리라고 압박"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5-09-26 09:54:00 수정 : 2025-09-26 09:54:13
김범수 기자 sway@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이 한국과의 무역협상에서 구두 합의했던 대미 투자 금액 3500억달러(493조원)를 더 늘리라고 압박하고 있다고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WSJ에 따르면 러트닉 장관은 비공개 자리에서 한국 관계자들에게 트럼프 행정부가 한국의 대미 투자 자금 중 대출이 아닌 현금으로 제공되는 비율이 더 높아지기를 원한다고 말했다.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 EPA연합뉴스

또 러트닉 장관은 최근 한국 측 관계자들과의 대화에서 대미 투자액을 약간 더 늘려 일본의 대미 투자액인 5500억 달러(775조 원)에 비슷하게 맞춰달라고 요구했다.

 

아울러 그는 일본 측이 서명한 대미 투자합의와 유사한 조건들을 한국이 수용해야 한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WSJ은 트럼프 행정부와 한국과의 무역합의 결과가 미국이 수십개 국가들과 진행 중인 광범위한 관세 협상을 평가하는 핵심 바로미터라고 평가했다. 미국은 한국과의 협상을 포함해 상당수 서면이 아닌 구두 합의만 체결된 상태에서 세부 조율을 진행하고 있다. 이 때문에 미국과 일부 핵심 교역 상대국 사이에 합의를 마치려면 방법론에 대해 이견이 남아 있다.

 

WSJ는 한 백악관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트럼프 행정부의 요구 사항 중 이미 합의된 내용에서 “드라마틱하게 벗어난 것”는 없다고 전했다.

 

한국과 미국이 7월에 합의한 무역합의 틀의 세부사항은 공개되지 않은 상태다.

 

특히 이달 초 미국 이민세관단속국(ICE)이 조지아주에서 한국근로자 300여명을 대규모 단속한 사건으로 한국 내 여론이 악화되면서 미국 측에 지나친 양보를 해서는 안 된다는 정치적 압력이 한국에서 더욱 강해지고 있다고 WSJ은 전했다.

 

WSJ은 만약 미국이 한국과 협상을 타결할 수 있다면 트럼프 대통령에게는 다른 나라들과 협상을 타결할 수 있는 모멘텀이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오피니언

포토

미야오 엘라 '시크한 손하트'
  • 미야오 엘라 '시크한 손하트'
  • 박규영 '사랑스러운 볼하트'
  • 유진 '강렬한 눈빛'
  • 박보영 '뽀블리의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