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2분기 미국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3.8%로 집계됐다.
미 상무부는 2분기 GDP 증가율 확정치가 지난달 발표한 잠정치(3.3%)보다 0.5%포인트 상향 조정된 3.8%(전기 대비 연율)로 집계됐다고 25일(현지시간) 밝혔다. 미국은 한국과 달리 직전 분기 대비 성장률(계절조정)을 연간 성장률로 환산해서 GDP 통계를 발표한다.

미국의 2분기 성장률은 다우존스가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3.3%)를 크게 웃돌았다. 2023년 3분기(4.7%) 이후 7개 분기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2분기 들어서는 관세 부과를 앞두고 나타났던 일시적인 재고 확보 요인이 줄면서 수입이 급감한 게 성장률을 끌어올리는 데 큰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순수출은 2분기 성장률을 4.83%포인트 끌어올리는 데 기여했다. 2분기 개인소비 증가율은 2.5%로 한 달 전 잠정치 추계(1.6%) 때보다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확정치는 잠정치 추계 때는 빠졌던 경제활동 지표를 반영해 산출한다.
미국 경제 수요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민간지출(국내 민간구매자에 대한 최종 판매) 증가율은 2.9%로 잠정치 추계(1.9%)보다 대폭 개선됐다.
한편 상무부는 지난 1분기 미국의 성장률을 종전 0.5% 감소에서 0.6% 감소로 0.1%포인트 하향 조정했다고 밝혔다. 투자 및 정부지출, 수출이 하향 조정된 점이 반영됐다고 상무부는 설명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